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빛 나눠 작물 생육·태양전지 충전 ‘두토끼’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5
작물 생육에 활용하고, 나머지 태양빛 대부분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광필터가 모두
반사
시켜 태양전지가 흡수,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태양전지는 투과하는 빛의 파장 영역과 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광 조건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목성 극지 오로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3
빛을 내는 현상이다. 오로라 주변의 황록색 연무와 그 아래 더 깊이 있는 구름에
반사
되는 빛은 청색으로 표시됐다. 이 밖에 목성 빛의 100만 분의 1밖에 안되는 희미한 고리, 고리 맨 왼쪽 가장 자리의 목성 위성 ‘아말테아’와 아드라스티아’도 관측됐다. 목성은 10개의 위성이 있지만 크기가 작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
2022.08.17
섀도캠도 주목을 끌고 있다. 달 표면에서 영구적으로 햇빛이 들지 않는 그림자 지역의
반사
율을 측정하는 장비다. 달 표면에서 액체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우주에서의 생명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크게 증폭될 수밖에 없다. 한국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5일 발사 40분 후 발사체와 ... ...
5일 발사 한국 첫 달 궤도선 '다누리' 전세계 관심받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탐색한다. 최대 해상도 2.5m 카메라 2대를 이용해 관측 폭 10km로 촬영이 가능하다.
반사
경이나 렌즈 등 주요 부품이나 조립, 정렬 기술 모두 국내서 개발했다. 루티는 착륙 후보지 49곳의 약 90%에 달하는 44곳을 실제로 촬영해 착륙 가능성 등을 평가하는 자료를 만들 예정이다. ● 달 뒷면 입자 크기 ... ...
옆집에 불이 났지만 괜찮은 이유
팝뉴스
l
2022.07.26
않았다. 어떻게 된 일일까? 화재가 일어난 게 아니라고 한다. 석양이 유리에
반사
되었을 뿐 아무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석양 이미지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하와이에 지름 30m 거대
반사
망원경 이번엔 들어서나
연합뉴스
l
2022.07.20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하와이와 스페인령 카나리아제도에 거대
반사
망원경을 설치하는 방안에 대해 환경영향평가를 할 계획이라고 AP통신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재단은 주경의 지름이 30m인 TMT(Thirty Meter Telescope) 사업에 정부 예산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차세대 우주망원경의 과제는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22.07.16
우주에서 언제든 필요한 망원경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며 “특히 작은 크기의
반사
경을 손쉽게 만들 수 있어 소형 위성과 탐사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액시옴(Axiom) 임무로 건설될 우주정거장의 상상도. 우주 공장에 필요한 기술이 이곳에서 개발될 예정이다. 액시옴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④ GPS 신호로 우주에서 대기 관찰하는1 초소형위성 '스누글라이트-2'
동아사이언스
l
2022.06.15
달라지는 걸 이용하면 입체적으로 지구 대류권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지구 전파를
반사
해주는 전리층을 관측하면 우주 대기를 모델링하거나 지구에서 일어난 쓰나미가 방출한 파동 신호를 미리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에 장착된 GPS 수신기 3대를 이용해 우주에서 스스로 위성 자세를 ... ...
[누리호 타고 우주로]②초소형위성 최초 지상 촬영 도전하는 '랑데브'
동아사이언스
l
2022.06.13
파장대의 빛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물체가
반사
하는 빛은 물체의 특성마다 다른 만큼
반사
되는 빛을 분석하면 물체가 무엇인지도 예측할 수 있다. 큐브위성 광학장비를 개발한 김한익 연구원(박사과정생)은 “다양한 파장대를 보면 물체가 뭔지 모를 때 어떤 물체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며 ... ...
[표지로 읽는 과학]아마존 우림 아래 감춰진 고대도시, 모습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1
2019년 두 연구원은 라이다 장비를 들고 다시 그곳으로 향했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쏜 뒤
반사
돼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주변 사물이나 지형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헬리콥터와 소형 항공기를 이용해 공중에서 초당 약 150만번의 레이저 펄스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얻은 데이터에서 빽빽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