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안
창안
발명자
창시
창설
발명품
개발
뉴스
"
발명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독일의 대문호 괴테가 발굴하고 후원한 화학자였다. 되베라이너는 휴대용 라이터를
발명
하기도 했다. 이후 1860년대 초 영국의 존 뉼런즈(1837~1898)와 프랑스의 알렉상드르 베기에 드 샹쿠르투아스(1820~1886)는 독립적으로 원소들 사이의 규칙성을 확인했다. 원소들의 성질을 비교하기 위해 배열하는 ... ...
한전공대 초대 총장 후보에 윤의준 서울대 연구처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LED를 연구하는 소재, 소자 전문가다. 그는 '제대로 된 대학 기술을 남기려면 좋은
발명
을 선별해 대학에서 좋읕 특허로 키우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신영 기자 한국전력공과대(한전공대) 초대 총장 최종후보자에 윤의준 서울대 연구처장(사진·서울대 산학협력단장)이 선임됐다. 8일 ... ...
[잠깐과학] ‘빛 공해 금지법’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06
‘빛 공해’는 인공적으로 만든 빛이 일으키는 부작용을 뜻한다. 인류는 밝은 조명을
발명
한 덕분에 늦은 밤까지 책을 읽고 다양한 활동하게 됐지만 잃은 것도 많다. 어두워야 하는 밤이 어두워지지 않으면 가장 먼저 자연에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어두운 밤에 적응하여 진화한 박쥐 같은 ... ...
'유전자가위 특허출원·기술이전 절차 부적절' 혐의 김진수 전 IBS단장 부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또 서울대와 IBS에 근무하면서
발명
한 유전자가위 관련 특허기술 2건에 대해 직무
발명
신고를 하지 않은 채 툴젠 명의로 특허출원한 부분도 업무상배임에 해당한다고 봤다. 서울대와 관련된 의혹은 2018년 9월 처음 제기된 것으로, 김 단장이 서울대 화학부 교수 재직하던 2012~2013년 시절 개발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이를 리퍼세이가 빼앗아갔다는 주장도 있다. 그럼에도 리퍼세이가 최초의 망원경
발명
자로 언급되는 이유는 그가 망원경에 대한 특허를 주장한 최초의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특허권은 인정되지 않았다. 현미경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을 처음 들여다본 사람 중 한 명이 이탈리아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
2020.05.13
1951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4만 명이 천연두에 감염되었다. 1796년 에드워드 제너가
발명
한 ‘종두’가 있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계절형 독감의 피해도 엄청났다. (참고로 1900년의 세계 인구는 16억 5000만 명이었다.) 인간에 의한 환경 파괴가 거의 없었던 산업혁명 이전의 ... ...
"원자의 빈공간에 있는 에너지를 빼내 우주 탐사선 동력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들어가며 어릴 적 꿈을 결국 이뤘다. 최 수석연구원은 "혁신적이고 다양한
발명
의 성과를 낼 수 있던 배경에는 혁신을 존중하는 NASA의 지원이 있었다"며 "한국도 NASA처럼 우주개발을 전폭적으로 이끄는 국가기관인 ‘우주청’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 수석연구원은 "우주개발이 학문의 ... ...
최상혁 NASA 수석연구원, '
발명
가 명예의 전당'에 이름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최상혁 미국항공우주국(NASA)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 NASA 제공 최상혁 미국항공우주국(NASA) 랭글리연구소 수석연구원이 NASA ‘
발명
가 명예 ... 거쳐 미국 오리건주립대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마치고 NASA에 들어갔다. 현재 미국
발명
아카데미 회원이며, 미국 항공우주학회(AIAA) 준회원이다. ... ...
[잠깐과학]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5.02
이 논쟁은 그들이 죽고 난 후에도 무려 50년 넘게 이어졌습니다. 1950년대에
발명
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니 신경 세포 사이에서 미세한 틈이 발견되었습니다. 카할의 이론이 신경 세포의 구조를 더 잘 설명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지요. * 용어정리 카밀로 골지(1843~1926) : 이탈리아의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원리를 이해하고 성능을 결정하는 데 경험적으로 쓰여 왔다. 이 현상은 트랜지스터를
발명
한 공로로 195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윌리엄 쇼클리가 1949년 처음 제시했다. 하지만 전압을 가한 상황의 반도체 소자에서 측정하거나 계산을 하기 어려워 원자 수준에서는 이론적인 개념으로만 남아있는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