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계
널판
발돋움
도약판
기반
터전
기초
뉴스
"
발판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학부생, 네발로 가다 뱀처럼 기는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옆으로도 미끄러지듯 갈 수 있다. 연구팀은 이에 착안해 다리에 뱀처럼 움직이게 할
발판
과 부속을 가진 4족 보행 로봇을 제작했다. 연구팀이 만든 4족 보행 로봇은 평소에는 다른 4족 보행 로봇처럼 네 다리로 걷다가 가구 아래 좁은 틈새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납작 엎드려 꼬물꼬물 기어가게 된다. ...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램리서치파운데이션과 헬로코딩캠프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관계자는 “이번 헬로코딩캠프를 통해 아동들이 코딩을 경험하고 흥미를 느끼는
발판
이 되기를 바란다”며 “향후 이와 관련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올해 기후·환경 분야 연구에 1082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1.23
위한 세계 선도적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고 국가 성장 동력의
발판
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미생물로 친환경적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폐플라스틱을 분해하는 기술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높은 전기전도도를 구현한 고성능 대면적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한국 호랑이 표준 게놈 지도를 기반으로 한 전 세계 호랑이의 계통도가 나왔다. 과학을
발판
으로, 우리는 호랑이를 되찾을 수 있을까.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 때 태어나 아기 호랑이에겐 ‘백두’ ‘한라’ ‘태백’ ‘금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매우 한반도스러운 이름이지만, 아기 호랑이의 ... ...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주원돈 연구원·이병극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등을 국내 중소기업에 전파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과 함께 광학산업의 동반 성장
발판
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주 연구원은 “중소기업과 더욱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을 전파해 한국 광학 기술이 세계 최고 기술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광학기기 ... ...
포스텍 개발한 ‘스마트 공작기계’ 표준안, 국제표준기구(ISO)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한국의 기업들이 국제표준을 선제적으로 적용해 발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발판
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 센터장 연구팀은 2005년 스마트팩토리 연구센터를 설립한 이래로 △표준기술력 향상사업 △독일인공지능연구소(DFKI)와의 국제 공동연구 △유럽연합(EU) ‘FP7’ 국제 공동연구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주고받게 하는데 성공했다. 다자간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연결하는
발판
을 마련한 것이다. 양자 암호를 이용한 원격 전송기술은 ‘양자 중첩’과 ‘양자 얽힘’ 등 두 가지 특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양자는 디지털 컴퓨터처럼 0과 1이란 정보 외에도 두 가지 성질이 모두 ... ...
나노영챌린지 최우수상에 이우석 김한은 김동규씨
과학동아
l
2018.12.06
“미래기술 구현을 위해 나노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혁신성장의
발판
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2018 나노영챌린지 최우수상 수상팀이 아이디어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등에 활용된다”며 “음향 이미징 장치의 성능이 향상시켜, 이를 널리 상용화할 수 있는
발판
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1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학부생 작은 아이디어, 1억원 기술이전료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받는 조건이다. 이번에 이전된 기술은 전동호 연구원이 학부생 때 떠올린 아이디어가
발판
이 됐다. 평소 건설재료에 관심이 많던 전 연구원은 학부 3학년이던 2014년, 오 교수 연구실에서 인턴을 하며 석탄화력발전의 부산물인 플라이애시를 활용하는 연구에 참여했다. 플라이애시는 전세계에서 매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