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곤충
충
버러지
버그
벌러지
새끼벌레
새끼
뉴스
"
벌레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라우 힐링레터] 화려한 수중 댄서, '납작
벌레
'
2018.06.17
흔히
벌레
라고 하면 징그럽고 왠지 가까이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바다 속을 춤추듯 유유히 헤엄치는 이들 납작
벌레
를 보면 생각이 달라질지도 모르겠다. ... 이들을 만나게 된다면 꼭 그 이름을 기억해 주길 바란다. 화려하게 춤을 출 수 있는 납작
벌레
라는 것을... ... ...
벌레
들의 질서 의식 ‘깜짝’
팝뉴스
l
2018.06.09
이해할 수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한 네티즌은 “
벌레
들의 질서 의식이 놀랍다”라고 말한다. “도대체 왜 이렇게 줄을 지어 다니는지 궁금하다”거나 “자연의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라는 평가도 나온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이강운의 곤충記] 시속 50km로 비행하는 나방 박각시를 아시나요
2018.06.06
교수. 과학 동아 Knowledge 칼럼 ‘애
벌레
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
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도서출판홀로세)를 지었다 ... ...
무서운 아이스크림
팝뉴스
l
2018.06.04
작지 않은 크기라 더 놀라게 된다. 일부 해외 네티즌들은 그래도 다행이라고 평한다. 날
벌레
가 더 깊은 곳에 얼어 있었다면 그냥 먹지 않을까. 그렇게 보면 불행 중 다행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구멍 난 청바지 입을 때 조심하세요
팝뉴스
l
2018.06.01
네티즌들도 있고 동정심을 표현하는 이들도 많다. 피해(?) 여성의 무릎 부위가 벌겋다.
벌레
에 쏘이거나 불에 데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특별히 위험한 일을 하지도 않았고 사고도 당하지 않았다. 여성은 외출을 나갔다 집으로 돌아왔을 뿐이다. 문제는 구멍 난 청바지였다. 무릎이 뚫린 ... ...
[이강운의 곤충記] 우아한 나비의 독점적 번식욕
2018.05.16
교수. 과학 동아 Knowledge 칼럼 ‘애
벌레
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
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도서출판홀로세)를 지었다 ... ...
꼬물꼬물 눈길 가는 나비 애
벌레
팝뉴스
l
2018.05.15
화제의 이미지를 공개한 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살고 있는 생물학자. 이 애
벌레
는 보기와는 달리 유해하지 않다고 한다. 단 먹으면 곤란하다. 독성의 아리스톨로크 산이 몸속에 있다. 맛이 고약하기 때문에 천적을 쫓아낼 수 있다고 이미지 공개자를 설명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테마영화] ‘버닝’으로 돌아온 이창동 감독의 영화 BEST 3
2018.05.12
영화로 꼽을 수 있는 영화가 바로 ‘밀양’이다. 작고한 이청준 작가의 단편 소설 ‘
벌레
이야기’를 재해석해 스크린으로 옮긴 작품이다. 이창동 감독이 바라본 인간 군상과 세상의 모습이 오롯이 담겨 있다. 남편을 잃고 홀로 아들 준이를 키우는 신애(전도연 분)는 남편의 고향인 밀양에서 새 ... ...
과학자, 모기에게 피를 주다
팝뉴스
l
2018.05.09
제공 사진 속 여성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팔뚝에 검은
벌레
들이 보인다. 일부러 팔뚝을 내준 것으로 보인다. 표정과 자세를 보면 집중하고 있는 게 분명하다. 이 여성은 학질모기에게 헌혈을 하고 있다. 학질은 말라리아의 다른 이름이다. 수천 마리의 모기를 기르는데 모두 수년간 연구실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과잉반응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가려움은 인체의 보호 반응으로, 유해한 화합물이나
벌레
등의 존재를 알려주는 신호다. 가려움 자체는 크게 고통스럽지 않지만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참기 어려운 뭔가가 있다. 흥미롭게도 화학적 자극과 물리적(기계적) 자극에 대한 가려움 반응이 따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