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처
인근
이웃
주변
근방
인접물
인접지
뉴스
"
부근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 홍수 걱정 없는 저장장치의 차세대 주자들
과학동아
l
2021.02.27
저장하고 읽을 때는 전자석 원리와 전자기유도 현상이 사용된다. 자기테이프를 전자석
부근
에 통과시키면 자기장이 유도되며 자기테이프가 띈 자성이 한 방향으로 정렬되는데, 자성의 방향에 따라 0과 1의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된다. 가령 연속된 자성의 방향이 같으면 0, 다르면 1이 새겨진다. ... ...
기후변화로 커진 산불위험, 온도 상승폭 0.5도만 줄여도 절반으로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억제할 수만 있어서도 산불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중해
부근
과 북미 서부지역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0.5도를 낮추는 것만으로 기후학적 산불위험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조한 기후로 산불이 잦은 한반도도 온도가 상승할수록 산불위험이 ... ...
주말 낮 기온 10도 안팎으로 '포근'… 8일부터 다시 추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5
맑아진다. 6일 일부 지역에는 비가 예보됐다. 이날 새벽 3시부터 9시 사이 중국 상하이
부근
에 형성된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되는 따뜻한 남서풍이 형성하는 낮은 구름대 영향으로 경기 동부와 강원 영서에는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고 강원 산지에는 눈이 날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 ...
3일 퇴근길 서두르세요… 중부지방에 또 '큰 눈' 최대 적설량 15cm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동안 많은 눈을 내리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이번에 내리는 눈의 양이 지상
부근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구름대가 유입하기 전 지상의 기온이 비교적 높으면 수도권 등 고도가 낮은 중부지방에서는 진눈깨비가 날리는 등 적설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 ...
열대성 저기압 최대 위력 지점 10년마다 30㎞씩 해안에 근접
연합뉴스
l
2021.02.01
40년간 태풍·허리케인 발원해역·이동경로·강도 분석 결과 [AP/NASA=연합뉴스] 적도
부근
의 열대 해상에서 발원해 지역에 따라 태풍 또는 허리케인, 사이클론 등으로 불리는 열대성 저기압(tropical cyclone)의 최대 위력 지점이 지난 40년간 10년마다 약 30㎞씩 해안에 더 가까워지며 이전보다 더 큰 ... ...
태풍 중심축의 흔들림도 보인다…태풍 24시간 감시하는 '우주의 눈' 천리안2A호
동아사이언스
l
2021.01.31
일직선으로 오는 게 아니라 이리저리 흔들리며 움직이는 것뿐 아니라 태풍이 한반도
부근
에 왔을 때 태풍 중심축이 기울어지면 구름의 순환이 달라지는 것도 새로 확인됐다. 해상도가 낮았을 땐 알 수 없었던 기상 현상이다. 천리안 2A호는 안개와 황사 등 기본 산출물 23종과 이를 분석해 산불, ... ...
스페이스X는 안 하는 공중 발사, 버진 오빗은 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올리는 해상 발사 방식은 발사 비용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각광받고 있다. 지구는 적도
부근
에서 자전 속도가 가장 빠르다. 적도에서 로켓을 쏘면 로켓이 우주로 올라갈 때 자전에 의한 회전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더 적은 연료로 더 큰 위성을 올릴 수 있다. 해상 발사는 선박을 끌고 적도에 가서 ... ...
돼지에서 수면무호흡증 비밀 밝힐까
2021.01.20
일어난다는 가설을 세웠다. 호흡 도중 갑작스럽게 기도가 수축해서 좁아지면 좁아진
부근
을 지나가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진다. 이 때 불규칙적인 난류가 발생하고 난류 때문에 공기가 흐르는 데 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난류의 저항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해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주시할 필요는 있지만 과민대응할 필요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1.12
‘B117’은 바이러스가 인체 숙주에 침입할 때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외피 단백질
부근
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는 게 안 교수의 설명이다. 염기 변이로 아미노산 17개가 변이를 일으켰는데 이 중 11개의 아미노산 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과 외피 단백질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 ...
무거운 짐 장시간 단단히 쥐는 로봇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로봇 장갑의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인체에서 악력을 만들 때 손목
부근
에서 큰 근전도 신호가 감지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로봇 장갑을 직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간 근육 중심부의 근전도 신호가 주로 사용된 것과 달리 연구진은 천지굴곡근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