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확산에 날씨가 큰 영향 주지 않아
2020.11.04
날씨는 인간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인간 행동은 바이러스가 한
숙주
에서 다른
숙주
로 옮겨가는 데 영향을 준다. 날씨와 사람들의 행동 양태, 바이러스의 전파가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셈이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 연구진은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대한 날씨의 역할을 ... ...
신종 코로나, 뇌 혈뇌장벽 구조 느슨하게 만든다
연합뉴스
l
2020.11.02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입하려면, 돌기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로
숙주
세포 표면의 ACE2 효소와 결합해야 한다.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뇌혈관에도 ACE2가 많이 존재한다는 걸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사후 뇌 조직 검사를 통해 전두(이마) 피질의 혈관 곳곳에 ACE2가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미국산 달팽이가 사는 웅덩이에 같이 산다. 이 달팽이는 감염성 흡충의 중간
숙주
다. 개구리로서는 반갑지 않은 일이다. 연구 결과 개구리의 약 3분의 2는 달팽이가 없는 웅덩이에 산란했다. 개구리의 명당은 ‘깨끗한 청정지역’이었다. 기생충에 감염된 달팽이가 서식하는 웅덩이에 산란한 ... ...
인체 세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조력자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숙주
세포에 침투할 때 도움을 주는 단백질과 방해하는 단백질이 각각 새로 발견했다. 그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 표면의 돌기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 표면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독감 백신 접종, 효과 얼마나 있나
2020.10.27
아니라 수십 명에 그칠 수도 있다. 호흡기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보면 코로나19로 인간
숙주
가 보여준 사회적 거리두기는 빠른 돌연변이 속도로도 도저히 대응할 수 없는 충격적인 행동 변화다. 그 결과 예년 같으면 사람 사이를 널 뛰고 다녔을 바이러스들이 힘을 못 쓰고 있다. 필자만 해도 가족 ... ...
[코로나19 연구속보] 우리 몸속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코로나19 퇴치법 알려줄까?
2020.10.20
숙주
를) 회복가능하게 하거나 취약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면역 기계들을 침묵시키거나 또는 깨어나게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문제를 좀더 알아보기 위해 인간과 다른 포유류의 면역세포 데이터를 대규모로 수집한 뒤 고성능 컴퓨터 기술로 게놈 서열분석(시퀀싱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CoV-2와 사스바이러스는 ACE2를, 메르스바이러스는 DPP4를 수용체로 활용한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와 결합하면 단백질가위(SAR-CoV-2의 경우 TMPRSS2)가 스파이크단백질의 일부분을 자르고, 비로소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한다. 동아사이언스 자료사진 ACE2와 스파이크 단백질의 결합이 바이러스의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코로나바이러스-2와 ACE-2 단백질의 상호작용보다 훨씬 복잡하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숙주
동물의 감염과 관련된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을 규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살아있는 동물을 통해 수행된 기존 실험결과와 이미 보고된 동물 감염 사례와 일치한다. 연구진은 실험실 ... ...
코로나19, 남성 생식 기능에도 영향(?)
연합뉴스
l
2020.10.07
나타났다고 한다. 원인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입할 때 사용하는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 수용체가 고환의 세르톨리 세포(Sertoli cell)와 라이디히 세포(Leydig cell)에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세르톨리 세포는 정자의 성숙을 돕고 라이디히 ... ...
30년전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자, 코로나19와 싸운다
2020.10.05
MERS-CoV) 등 인체 감염 코로나바이러스의 면역 기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숙주
인 인체의 면역세포 가운데 림프구에 존재하는단백질 복합체 일부가 여러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세포 감염을 방해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 복합체가 항바이러스 효과를 낼 수 있는 핵심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