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scale
정도
크기
범위
한계
넓은
뉴스
"
스케일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
2015.10.12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글로벌프론티어 멀티
스케일
에너지시스템연구단의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던 풀러렌을 고분자로 대체해 내구성을 기존 대비 470배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전 ... ...
전력소모↓ 성능↑ 新 반도체소자 개발
2015.09.09
김경록 UNIST 교수(왼쪽)과 김성호 석박통합과정 학생은 전력소모는 줄이면서 성능은 높인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력소모가 적으면서도 ... IEEE NANO)’에 발표됐으며, 8일 ‘영국왕립화학회’가 수여하는 ‘나노
스케일
지평(Nanoscale Horizons)’상을 받았다.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국내연구진이 이차전지의 충전속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배터리에 비해 충, 방전 속도가 최대 100배 이상 ... 차세대 이차전지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나노
스케일
’ 7월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6000원으로 만나는 일본의 과학
2015.04.19
볼거리 면에서 지구관에 뒤지지 않는 느낌이었다. ‘일본관’은 ‘지구관’에 비해
스케일
이 작고 볼 거리도 없을 것이란 편견을 고의적으로라도 깨려는 노력이 느껴졌달까. 실제 암석으로 만든 일본 지질도. - 도쿄=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지진이 쉴 날이 없는 일본의 지질도를 실제 암석으로 ... ...
100배 싼 촉매 개발… “수소상용화 앞당겼다”
2015.03.29
국내 연구진이 미래 에너지 전달 물질로 꼽히는 수소를 값싸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소를 생산할 때 고가의 백금을 사용 ...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나노
스케일
(Nanoscale)’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뇌 연구 통합해 ‘뇌 백과’ 만든다
2015.03.19
구조적 연구 등 각각의 뇌 연구를 통합하려는 것이다. 뇌 백과 융합클러스터는 ‘멀티
스케일
커넥톰’ ‘기능 네트워크’ ‘시냅톰’ ‘바이오 마커’ ‘뉴로인포메틱스’ 등 5개 분과로 나눠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구체적인 세부 연구 분야를 정한 뒤 향후 뇌 백과를 어떻게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초대칭성이 깨질 때의 에너지
스케일
에 상당하는 질량을 가지게 된다. 이 에너지
스케일
이 우리 우주의 현재 상태보다 매우 높으면 보통의 실험에서는 초대칭 입자들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LHC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LHC의 에너지가 초대칭 입자들의 질량에 이르면 우리는 그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제조 시간이 단축되며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나노
스케일
(Nanoscale)’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조길원 교수는 “그래핀 박막은 접거나 휠 수 있는 전자소자의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며 “이번 기술 개발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 웨어러블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이를 감지해 알아채는 원리다. 미래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인 ‘멀티
스케일
에너지시스템연구단’을 이끄는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 김태일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거미의 미세 균열을 모사해 감도를 기존 대비 1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높인 초고감도 센서를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의 권위 있는 저널인 ‘나노
스케일
(Nanoscale)’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3건의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