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뉴스
"
쌍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크기다. 6종 가운데 원시적인 특징을 가장 많이 지닌 호주폐어의 게놈은 무려 430억 염기
쌍
으로 사람 게놈의 14배에 이른다. 사람 게놈의 14배 크기 최근 호주폐어의 게놈이 해독되면서 척추동물 10종의 697가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만든 계통수다. 폐어가 실러캔스보다 육상동물에 더 ... ...
조종자 동작 그대로 구현하는 대형 로봇팔 개발..."대형 재난현장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재난대응 특수목적기계는 하부모듈 4개 위에 사람의 양 팔 역할을 하는 6m 길이의 로봇팔 1
쌍
이 달려 있는 형태다. 조종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고 움직이면 그 동작대로 움직인다. 최대 200㎏에 달하는 대형 장애물을 옮기거나 22㎜ 두께의 철근을 절단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시멘트 ... ...
"일란성
쌍
둥이, 유전자 100% 같지 않다"
연합뉴스
l
2021.01.08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쌍
둥이를 연구하고 있는 낸시 시걸 심리학 교수는 일란성
쌍
둥이는 완벽하게 같지는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과학자들은 유전과 환경의 영향에 대한 생각을 다시 정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 ...
中, 하늘과 땅 4600km 걸쳐 양자암호통신 성공..."기술 집대성"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무쯔를 이용해 단일 광자
쌍
을 만들고, 이들을 얽힘 상태로 구현한 뒤 1120km 떨어진 지상의 두 기지국에서 송수신하는 데 성공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지상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2600km로 2배 이상 늘었다. 전송 속도도 향상됐다. ... ...
물에 잘 젖지 않고 생분해 가능한 포장용 투명 필름 개발
연합뉴스
l
2020.12.16
천연 고분자의 나노 섬유화를 위한 물리적인 충돌 방식이다.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한
쌍
의 노즐을 통해 나오는 셀룰로스 분산액을 충돌 에너지로 미세화함으로써 나노 섬유로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이다. 연구팀은 또 가정용 프라이팬 표면에 적용된 것과 유사한 발수·발유 코팅 박막을 적용해 ... ...
피라미드 꼭짓점에서 대칭성 유지하며 양자점 제어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해결했다”며 “상온에서 작동하는 질소화합물 반도체 양자점을 이용해 편광얽힘 광자
쌍
방출 소자와 같은 차세대 양자 광원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 레터스’ 12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많아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많은 후속 세대의 결과를 볼 수 있다. 염색체의 수가 네
쌍
으로 적어 관찰과 분석이 쉽다는 것도 장점이다. 유전학자인 스티브 존스는 “초파리는 거의 과학자들을 도와주기 위해 디자인된 것만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현대유전학을 만든 장본인은 초파리라 해도 ... ...
물고기, ‘칼군무’로 에너지 비축한다
과학동아
l
2020.12.01
소비량은 움직일 때 소비되는 전력량을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쌍
으로 헤엄칠 때 뒤따르는 물고기의 에너지 소비량이 두 물고기 사이의 거리와 위상에 따라 최대 13.4%까지 차이가 났다. 뒤따라 헤엄치는 로봇물고기가 앞서가는 물고기 꼬리가 만들어 낸 소용돌이에 움직임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보인다. 노란색과 녹색의 비율도 마찬가지이다. 멘델은 두
쌍
의 대립형질뿐만 아니라 세
쌍
의 대립형질에 대해서도 비슷한 실험을 했고 이 경우에도 각각의 대립형질이 서로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후대에 전해짐을 확인했다. 현실에서는 멘델의 세 가지 법칙이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 ... ...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넥스트스트레인 제공 이어 연구팀은 중증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모델 동물인 햄스터 8
쌍
을 이용해 각각 두 유형의 바이러스에 개체간 전파 특성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D614G 바이러스에 감염된 햄스터는 8마리 중 5마리가 이틀 뒤 감염돼 바이러스가 검출됐지만, 같은 시간에 WT는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