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인
대인
성년
집안어른
가구주
선배
연장자
뉴스
"
어른
"(으)로 총 692건 검색되었습니다.
‘민간 우주개발’ 세계적 선구자들 국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미국의 스타트업 ‘벡터론치’는 길이 12∼20m의 소형 발사체(로켓)를 개발하고 있다.
어른
주먹 크기의 초소형 위성인 ‘큐브샛’을 우주에 저렴하게 실어 나르는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 2019에서는 이들 기업 대표 외에 올해 4월 세계 최초로 민간 달 탐사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이타심의 탄생
2019.07.13
덜덜 떠는 모습을 연기하도록 했다. 마지막 조건에서는 정서 조건과 똑같이 함께 있는
어른
이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건네 줘야하는 물건이 아이 본인의 물건으로 타인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포기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이타심’ 조건이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30개월 아기가 18개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아는구나 싶어서 좀 씁쓸했었다. 질문이 없는 건 물론 학생들을 탓할 일이 아니다.
어른
들이 그런 풍토와 문화를 만든 탓이다. 그렇게 자란 학생들은 학문의 영역이 아니더라도 대개 질문하는 데에 서툴다. 가장 극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지난 2010년 G20 서울정상회의 폐막식 풍경이다. 그때 오바마 미 ... ...
원숭이도 사용하는 도구 ‘유행’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사용하던 석기. 작은 씨앗 등을 때려 가공해 곳곳에 흔적이 남아 있다. 모든 석기는 대략
어른
주먹 반보다 작은 크기다. 사진제공 네이처 생태진화 남미 지역에 사는 원숭이가 적어도 3000년 동안 석기를 만들어왔으며, 시간에 따라 제작 기법의 변화까지 겪었다는 사실이 고고학 연구를 통해 새롭게 ... ...
“경계에서 꽃을 피워라” 소재에서 바이오까지 융합, 또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전환 효율(광전효율)을 실리콘 태양전지 수준인 25%로 높이고, 셀을 대형화해 만든
어른
손바닥 크기 모듈의 효율을 20%까지 높이는 게 목표다.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은 “올해 24.23%의 효율을 달성해 세계 최고 기록을 새로 썼다”며 “목표에 이미 근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몸무게 1㎏에 0.6~1.5㎎ 수준이다. 만일 스위트 아몬드가 아니라 비터 아몬드를 먹을 경우
어른
은 50알, 아이들은 5~10알만 먹어도 사망할 수 있다. 물론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비터 아몬드를 볼 기회가 없을 것이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학명을 바꿀 수 있다면 아몬드로 대개는 ... ...
반도체 나노패턴 빠르고 정확하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엉켜 있던 나노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깨끗이 정렬됐다. 연구팀은 이 방식을 통해
어른
엄지손톱 크기와 비슷한 약 1.5cm2의 넓은 소자에 나노패턴을 새기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실제로 이렇게 완성된 소자의 패턴이 제대로 된 방향성을 지니고 있는지, 결함은 없는지 확인한 결과, 약 10분 정도 ... ...
레고로 기계 만들고 AI로 불량검수… 진화하는 공대 수업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숨죽인 가운데 점이 찍힌 하얀 플라스틱 칩이 카메라 아래에서 잠시 멈췄다 움직였다.
어른
주먹만 한 하얀 미끄럼틀 모양의 구조물이 오른쪽으로 꺾이면서 플라스틱 칩을 오른쪽 구역에 밀어 넣자 숨죽이고 지켜보던 사람들이 아쉬움의 탄식을 내쉬었다. 총 30개의 플라스틱 칩을 인공지능(AI)을 ... ...
비밀기지 방불케 하는 세계 최대 지하실험실 그랑사소 연구소(영상)
2019.06.01
묵은 이끼가 낀 서늘한 동굴 속,
어른
키 네다섯 배는 되는 철문이 병풍처럼 접히며 열렸다. 이윽고 고개를 젖혀도 끝이 잘 보이지 않을 만치 거대한 실험시설들이 눈앞에 펼쳐졌다. 흡사 영화 속 미래 지하도시를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이탈리아 반도의 아름다운 산줄기 아래 지하터널로 10㎞ 넘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줄줄줄 읊기 시작하는 게 아닌가! 나는 경악한 표정으로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고 주변
어른
들은 우레와 같은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역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대단하긴 하다. 그 뒤로 나는 다시는 위화도 회군의 사례를 꺼내지 않았다. 참고자료 1. 숫자를 쓸 때 국제적인 공식 표기법은 세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