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완료
마무리
성숙
원숙
완비
완벽
뉴스
"
완성
"(으)로 총 2,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연가스 개발 현장이 탈탄소 허브로 탈바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이를 다시 고갈 가스전인 바유운단으로 지중 저장해 탄소 포집과 저장(CCS)을 동시에
완성
하는 에너지개발 사례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지난 10여년간 호주 바로사 가스전 개발에 참여해 누적 1조5000억원의 투자를 진행한 SK E&S는 “바유운단처럼 고갈 가스전을 CO2 저장 플랜트로 활용하면 20년간 ... ...
3D프린터로 만든 '비건 해산물'…"오징어와 맛·영양 똑같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가진 식물성 단백질 층을 3D 프린터용 잉크로 가공한 뒤 인쇄해 실제 물고기 모양을
완성
했다. ‘진짜 물고기’처럼 보이기 위해 원재료의 색깔까지 고려했다. 예를 들어 붉은 빛깔을 띤 연어 살코기를 만드는 데는 빨간렌즈콩 단백질을 사용했다. 3D 프린터로 만들어진 해산물 모방식품은 맛과 ... ...
'우주 원자력' 경쟁 본격 시작됐다...한국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목표는 유인 우주선을 화성까지 빠르고 효율적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르면 2027년 엔진을
완성
해 고도 700~2000km 궤도로 시험 발사해 기술을 검증한다. 중국은 1메가와트(MW)급 우주 원자로 개발에 2019년 착수했다. 같은 해 8월 미국도 원자력 기술을 우주 개발에 활용하겠다는 내용의 대통령 각서를 ... ...
[잠깐과학] 1992년 8월 11일, 한국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8.05
위성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웠고 기술협력을 통해 우리별 1호를
완성
하는 데 성공했지요. 그리고 마침내 1992년 8월 11일, 우리별 1호는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에서 아리안 4 발사체에 실려 우주를 향해 날아올랐어요. 우리별 1호는 지구 상공 1300km 궤도에 ... ...
해안가 부촌 어쩌나…"기후변화로 파도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됐다. 이를 통해 파도 높이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패턴을 분석하고 시계열 데이터를
완성
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1970년 이후 겨울 파도 평균 높이는 이전보다 13%(약 0.3m) 증가했다. 1996~2016년 파도 높이가 4m 이상인 날은 1949~1969년 대비 2배 이상 많았다는 점도 확인했다. 브로미르스키는 앞으로 ... ...
측우기, 세종대왕이 만든 게 아니었다?…과학업적 재조명
2023.07.29
미처 하지 못했던 작업으로 두 학자가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완성
된 칠정산은 조선의 달력을 만들고 일월식을 예측하는 데 활용됐다. 칠정산 편찬에 관한 이야기는 과학 연구에서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중국은 물론 머나먼 이슬람의 역법이 칠정산 편찬의 ... ...
[주말N수학] 천재는 신화일 뿐…'러셀의 역설'과 좌절
2023.07.29
증명할 수 있는 정교한 체계를 구축한 수학자에게 감탄했어요. 당시 저는 이 증명을
완성
한 수학자가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복잡한 수식을 술술 전개해 나가는 엄청난 천재일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대학교에 들어가고 수학의 세계로 깊게 들어가면서 두 가지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 ...
국경없이 잠시 머무는 공항과 극지는 닮았다…인천공항서 극지 예술 전시
동아사이언스
l
2023.07.27
때의 경험과 느낌을 예술이라는 언어로 번역하고자 했다"라고 답했다. 그가 2015년
완성
한 이 작품의 이름은 '플래그(flag·깃발)'이다. 푸른 조명으로 가득찬 사각형 공간 안에 마치 하얀 남극 대륙이 펼쳐져 있고, 눈밭의 끝자락엔 작은 빨간 깃발 하나가 바람에 나부낀다. 김 작가는 "남극에서 ... ...
5천광년 밖 목성급 행성 탄생현장 포착…"먼지 덩어리 형성 중"
연합뉴스
l
2023.07.26
말했다. 이어 "ESO가 아타카마 사막에 건설 중인 주경(main mirror) 39m의 극대망원경(ELT)이
완성
되면 발견된 먼지 덩어리의 화학적 특성을 탐색, 행성 형성 물질의 구성 등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차세대 이차전지 '수계아연이온전지' 상용화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를 사용하는데 불소계 고분자인 PVdF가 물 분자와 잘 결합하지 않는 소수성을 띠고 있어
완성
된 양극이 수계전해질에 젖는 것을 방해한다. 양극이 두꺼울수록 굴곡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계전해질이 전극 내부로 스며들기 어렵고 전해질이 침투되지 못한 양극은 아연 이온 공급이 원활치 않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