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
제조
산출
저작
가공
수법
창작
뉴스
"
제작
"(으)로 총 5,1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AI로 3D 메타물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설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메타물질을
제작
한 뒤 실험을 통해 광범위한 진동 감쇠 특성, 낮은 응력 집중을 통한 안정성 강화, 다양한 비선형 강성 특성 등 성능을 입증했다. ■ KAIST는 충남대와 ‘공동연구협력에 따른 바이오 분야 융합연구 활성화를 ... ...
에어로졸 공정으로 이산화탄소 전환촉매 성능·생산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분산시키고 결함 구조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데 기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정으로
제작
한 DSACs는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향상시켰다. 촉매가 원하는 생성물을 많이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인 선택성도 99% 이상으로 높았다. 연구결과는 화학연료 합성이나 수소 생산, ... ...
에너지 만들고 저장하는 친환경 인공근육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TPU)을 사용해 실제 근육을 모방한 인공근육섬유를
제작
했다. 기존에 열로 제어되는 형상기억 기능을 개선해 성능을 크게 높였다. 에너지를 생산하고 저장하는 기능까지 더한 다기능 섬유다. PLA는 옥수수와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으로 만든 친환경 생분해성 ... ...
어두워도 1초에 9120프레임 포착하는 곤충눈 닮은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의 제1 저자인 김현경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사과정생은 “
제작
된 곤충 눈 카메라는 작은 크기임에도 저조도·고속 촬영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며 “이동식 카메라 시스템, 보안 감시, 의료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 ...
인공장기 손상 없이 전기생리신호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1.14
구조’ 기반 고신축성 미세전극 어레이와 전기증착 공정을 통해 돌출형 미세전극을
제작
했다. 돌출형 미세전극은 오가노이드에 전극을 강하게 밀착시켜 오가노이드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전기생리신호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 교수는 “다양한 크기의 오가노이드에 활용 ... ...
겨울철 전기차 전비 늘릴까…발열 금속섬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4
겨울철 전기차의 온돌형 난방을 실현하는 고효율 고유연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을 개발한 이동윤 한국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 한국전기연 ... 현재 5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했다. 전기차와 반도체 등 관련 수요 기업을 발굴해 시제품
제작
및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다 ... ...
"국내 첫 궤도수송선 만들겠다"…도전장 내민 인터그래비티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적게 드는 용접 기술을 활용한 탱크, 획기적인 항법 기술 등을 이용해 궤도 수송선의
제작
및 발사 비용을 기존에 비해 대폭 줄일 것"이라면서 "인터그래비티를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업체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이 대표와의 일문일답. Q. 인터그래비티를 '우주 탐사 기업'으로도 ... ...
신개념 생체형틀법 '캠바이오' 개발…다양한 생체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연구팀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판을
제작
하는 것은 생체 시료를 활용해 대면적으로
제작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송대현 박사과정생은 “캠바이오를 통해서 더욱 다양한 단백질 구조체를 활용할 수 있는 생체형틀법을 포괄적으로 확보했다”며 ... ...
빛·압력·냄새·맛까지 감지하는 똑똑한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황으로 이루어진 2차원(2D) 나노물질 이황화몰리브덴(MoS₂)을 활용한 특수한
제작
공정을 통해 3차원(3D)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섬유를 만들었다. 섬유를 리본 모양으로 뽑아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3차원 나선형 구조는 섬유의 곡선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 ...
'이중층 그래핀' 비국소 저항 원인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상태를 따라 이동하며 전자의 흐름 방향이 나뉘는 현상이다. 정 연구원은 “소자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이온 식각 공정이 비국소 전송에 미치는 영향이 지금까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라면서 “이번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재조명하고 앞으로 밸리트로닉스 소자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