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르는 건 모른다”고 말한다…AI가 미학습 데이터 식별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22
위해 블록의 활성도를 분석하는 것을 제안했다. 활성도는 블록에 입력된 이미지에 대해
출력
되는 특징적인 지도(맵)의 크기를 의미한다. 모르는 데이터에 대해선 활성도가 작아지고 아는 데이터에 대해선 커진다. 연구팀은 AI의 미학습 데이터 식별 능력을 기르기 위해 먼저 모르는 데이터의 ... ...
“폭발위험 없고 고용량‧고
출력
”…레독스전지 성능 혁신 전해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레독스전지의 용량과
출력
을 향상시킨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왼쪽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 유승준 교수, 고진혁 학생, 홍석원 화학과 교수, ... 대형화와 같은 응용기술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독스전지의 용량과
출력
을 향상시킨 연구 결과를 나타낸 모식도. GIST ... ...
원전시설 지진 감시망 더 '촘촘히'..."1초만에 감지 후 3초 내 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기능의 정도와 연속 관측자료의 누락 여부를 점검한다. 성능검정에서는 감도나 입
출력
반응 및 각종 오차를 확인한다. 한국기상사업기술원은 2021년 11월 이후 원자력시설 등 국내 시설에 도입된 장비의 경우 이러한 검정 작업이 실시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기 이후 설치된 장비는 기기의 ... ...
서울대·KAIST·한양대, AI반도체 대학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해외 대학 등과의 공동 연구와 교육도 진행한다. 서울대는 입력값으로부터 원하는
출력
값을 얻기 위한 논리적 기능체계 및 구조설계를 뜻하는 ‘아키텍쳐’와 시스템 소프트웨어, AI 알고리즘, 반도체 회로 설계 등에 특화 커리큘럼을 구성한다. 방학기간을 활용한 팹리스 기업 등에 학점 연계 ... ...
우주 탐사 위한 원자력 연구 나선다...원자력연·항우연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3.05.02
전기를 생산하고, 온도와 압력 등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타 에너지원에 비해
출력
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 원자력 열 추진 시스템과 원자력 전기추진 시스템은 화성 등 심우주 탐사 때 기존 화학 에너지 추진 시스템에 비해 탐사 기간이나 탐사선 무게를 줄여 보다 효과적인 임무 ... ...
나트륨배터리 수명과
출력
, 획기적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바인더를 적용해 배터리 수명과
출력
특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연구팀이 적용한 바인더는 충·방전 과정 중에 바인더의 나트륨 이온과(R-COONa) 플루오린화수소의 생성 중간체인 HPO2F2의 수소이온과의 원소교환 반응을 통해 아크릴산(R-COOH)과 ... ...
나노크기 지능형 촉매로 연료전지 성능 2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분석결과 자체 제작한 연료전지는 비촉매 연료전지 대비 2배 이상 높은 최대
출력
밀도를 나타냈다. 200시간 이상 장기내구성 평가에서 뚜렷한 열화 없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또한 전기화학적 스위칭 기법을 이용해 나노입자 성장을 극대화하고 느린 이온확산에 의한 성장 제한을 ... ...
화재 위험 없는 '전고체 전지' 언제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못했다. 액체 전해질처럼 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발견하지 못해 활용에 필요한 충분한
출력
을 내지 못했다. 현재 소재 후보군으로 황화물과 산화물, 고분자 등이 발굴되며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전해질 소재 외에도 전극 등 분야 전반에서 연구가 진행되며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 ...
"인간은 몇 초 전 일어난 일도 왜곡해 기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뒤집힌 모양의 'Ә' 알파벳 그림을 보여줬지만 실제로는 'e'란 알파벳 그림이 화면에
출력
됐다고 답한 식이다. 세 차례에 걸친 비슷한 방식의 추가 실험에서 348건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단기 착시 현상이 공통적으로 관찰됐다고 말했다. 단기 착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 ...
인체에 무해한 인공장기 인쇄 ‘3D 바이오 잉크’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2
베타 1(TGF-β1)과 골 형성 단백질(BMP-2)을 포함한 바이오 잉크를 3D 바이오 프린터로
출력
해 3차원 지지체를 제작한 뒤 쥐의 뼈 손상 부위에 이식했다. 분석 결과 주변 조직으로부터 세포가 지지체 안으로 유입되어 뼈가 정상 조직 수준으로 재생됐다. 이식된 3차원 지지체는 체내에서 42일에 걸쳐 서서히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