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최초 달 궤도 진입 아폴로 8호 우주비행사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달 표면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아폴로 8호 임무를 수행할 당시의 윌리엄 앤더스.
NASA
제공 당시 앤더슨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우주 사진 중 하나를 촬영했다. 달 표면 위로 지구가 떠오르는 사진이었다. '지구돋이(Earth rise)'라는 이름의 이 사진은 지구가 우주에서 얼마나 연약하고 ... ...
우주 쓰레기가 우리 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과학동아
l
2024.06.08
태양풍에 떠밀려 더 빨리 지구로 떨어지는 거죠. 팔레트가 대기권에서 다 연소할 것이란
NASA
의 예측이 틀린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최 실장은 "우주 물체가 대기권에 진입할 때의 입사각, 고도, 속도 등이 연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습니다. 우주 쓰레기는 관측을 통해 분류되고 또 관리됩니다. ... ...
보잉 '스타라이너' 탑승 우주비행사 2명, 국제우주정거장 입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타고 지구로 귀환한다.
NASA
의 추가 검증을 통과하면 스타라이너는 2020년부터
NASA
우주비행사를 실어 나르고 있는 스페이스X의 우주선 '크루 드래곤'에 이어 역대 두 번째 미국의 민간 우주왕복선이 된다. 현재 ISS에는 크루 드래곤도 도킹 되어 있어 처음으로 미국의 우주왕복선 2대가 동시에 정박한 ... ...
역대 최강 '스타십' 궤도 왕복비행 첫 성공…화성에 한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플랩이 손상됐지만 스타십은 바다에 연착륙했다"고 말했다. 빌 넬슨 미 항공우주국(
NASA
) 국장은 엑스에 글을 올려 "스타십의 성공적인 시험 비행을 축하한다"며 "아르테미스를 통해 인류를 달로 돌려보낸 후 화성으로 나아가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스타십은 크기, 탑재 중량, 추력 ... ...
인류 화성 보낼 스페이스X 스타십, 6일 4차 비행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최대로 망원경 등 과학연구 장비를 우주로 쏘아올릴 수 있다. 스타십은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이 반세기 만에 인류를 달에 보내려고 추진하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3단계 임무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 ...
태양계 외곽 혜성, 지구에 당분 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관측한 뒤 아로코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로 '하늘'을 뜻한다.
NASA
제공 혜성을 통해 포도당을 포함한 유기물이 지구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미국 연구팀이 태양계 외곽에 있는 천체 '아로코스(Arrokoth)'에서 유기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재현해 분석한 연구결과다. 랄프 ... ...
올여름 80년만의 '신성 폭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주기는 약 80년이며 기록에 따르면 마지막으로 폭발한 것은 78년 전인 1946년이다.
NASA
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생애 한 번 뿐인 신성 폭발의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란다"고 했다. 북쪽왕관자리T는 지구에서 3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별이다. 수명을 다한 별인 백색왜성과 노년기에 접어든 별인 ... ...
우주청이 소행성 '아포피스'·라그랑주점을 탐사하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L2에서 운용되고 있다. 태양의 반대편에 위치한 L3는 관측활동이 어려우며 L5는 현재
NASA
가 탐사선을 보낼 계획을 준비 중이다. 마지막 남은 L4는 L5와 함께 이론적으로 다른 지점보다 물체가 안정된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것으로 여겨진다. 라그랑주 점에 원심력을 형성하는 두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015년 7월 13일
NASA
뉴호라이즌스 우주선에 탑재된 LORRI(Long Range Reconnaissance Imager)가 촬영한 명왕성 이미지. 흑백 이미지에 저해상도 색상 정보를 결합했다.
NASA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제공 명왕성이 유명해진 데는 표면의 하트 무늬가 큰 역할을 했다. 2015년 ... ...
우주발사체 시장 장악한 스페이스X…경쟁기업들 "머스크 '반칙'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등 경쟁사에 정부 보조금이 지급되는 것을 문제시했지만 현재 스페이스X의 성장에는
NASA
와 미 국방부의 자금 지원이 상당 부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