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스페셜
"
병원체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WHO, 코로나19 항체검사 국제 프로젝트 추진…美 항체검사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측정한다. IgM은 면역 반응 초기에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커다란 항체이고, IgG는 해당
병원체
에 직접 작용해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체다. 항체는 아무리 빨라도 감염 뒤 약 일주일 뒤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항체 검사는 감염 초기 환자를 검출하지 못한다. 또 환자 확진 정확도가 현재 세계적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집단면역 이론과 개학 연기
2020.04.01
소중한 과학 이론이기도 하다. 집단면역이 나타나는 이유도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병원체
의 입장에서는 면역력을 가진 개체의 비율이 늘어나면 감염이 가능한 새로운 숙주를 찾는 일이 어려워진다. 감염자가 집단 내에서 새로운 감염을 일으키는 재생산 지수가 줄어들게 된다는 뜻이다. 만약 ... ...
"코로나19 확산세 꺾는데 실내 습도 관리도 중요"
연합뉴스
l
2020.04.01
공기는 또한 바이러스 입자를 밀어내는 기도 상피 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결국엔
병원체
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력도 억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연구팀은 호흡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생쥐가 공기를 통해 쉽게 바이러스를 옮기는 실험 결과를 논문에 인용했다. 상대습도가 40% 내지 60%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4000여 개의 발현 패턴이 계절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쩌면 이런 변화가
병원체
에 대한 반응성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낮이 길어질 때 독감바이러스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저항성이 커지고 임질균이나 소아마비바이러스에는 취약성이 커지는 식으로 말이다. 실제 독감이나 ... ...
네이처 "코로나19 완치자 혈장 저렴한 게 장점"…국내에서도 '혈장' 이용한다
2020.03.31
7∼8%의 단백질, 2%의 기타 성분으로 이뤄진다. 감염 뒤 약 일주일 뒤부터 환자의 몸에는
병원체
에 대항하기 위해 바이러스 단백질 일부를 인지하는 면역 단백질인 이뮤노글로불린M(IgM)과 이뮤노글로불린G(IgG) 항체가 형성된다. 이들을 중증 환자에게 투여해 치료 효과를 노리는 방식이다. 권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코로나19 예방에는 전혀 도움이 안 되는 행동(2탄)
동아사이언스
l
2020.03.26
획득면역으로 나뉜다. 코로나19는 신종 감염병이기 때문에 선천면역을 가질 수 없다.
병원체
에 한 번 노출되어야 획득면역을 얻을 수 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이달 23일 코로나19에 인구의 60%가 면역력을 가져야 종식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도 획득면역을 의미한다. 독감을 ... ...
코로나19 완치 후 재감염 가능성 낮다…하지만 면역력 유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중앙임상위원회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논문을 보면 코로나19에 걸린 뒤 6∼10일 정도면
병원체
랑 싸울 수 있는 능력이 조금씩 생긴다”며 “감염됐던 사람이 단기간에 재감염되는 경우는 가능하더라도 드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얼마나 오랜 기간 면역력을 가질 수 ... ...
서정진 회장 "코로나19 치료제 항체 300종 확보…7월말 임상 착수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공격한다. 이 중 B세포는
병원체
가 가진 특이 단백질(항원)을 인지해, 항원에 들러붙어
병원체
를 제거하는 항체를 생성한다. 쉽게 말해 항원과 항체의 관계는 자물쇠와 열쇠와 같은 관계라 할 수 있다. 꼭 들어맞는 쌍이 있다. 서 회장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서울대병원의 협조로 회복환자의 혈액을 ... ...
미국인 4명 중 1명, '코로나19 음모론' 믿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사실이 무엇인지를 설명해 사람들이 음모론을 거부하게 하는 방식이다. 마치 약해진
병원체
를 넣어 병이 퍼지는 것을 막는 의학에서의 접종과 비슷한 방식이다. 쿡 교수는 “음모론이 퍼지지 않도록 접종하려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만들어졌다는 음모론이 있으나 과학자들은 ... ...
코로나19환자 항염증제 ‘이부프로펜’ 복용 두고 의료계 논쟁 중
2020.03.18
인간의 면역체계는 통상 체온이 높을 때 더 잘 작동하고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
병원체
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한다. 지금까진 진행된 동물, 파충류, 인간에 대한 연구에서 열이 감염 퇴치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체온이 1도 오르면 신진대사 속도가 12% 증가하는데 이는 면역체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