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분열
파괴
황폐
분해
파산
파손
스페셜
"
붕괴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비해 훨씬 약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 불이라도 나면 순식간에 타버려 건물이
붕괴
되는 참사가 일어나지 않을까. 그러나 나무는 그렇게 약한 자재가 아니다. 미국 레드우드국립공원에 있는 키가 100미터가 넘는 아메리카삼나무를 떠올려 보라. 목질화한 세포로 이뤄진 나무는 같은 무게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식단에서 기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했다. 안정 동위원소란 원소가 안정해
붕괴
하지 않는 동위원소로 탄소의 경우 C12와 C13이 안정 동위원소다. 따라서 수천 년 전 유골의 C12와 C13의 비율은 당시나 지금이나 그대로다. 연구자들은 뼈에 있는 콜라겐 단백질을 추출해 이 비율을 조사했다. C4 식물과 C3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잡을 수 있게 도왔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 마오쩌뚱의 문화혁명으로 과학연구가
붕괴
된 중국에도 도움의 손길을 뻗쳤다. 부르주아 사상이라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도 거부했을 정도였던 혁명의 광풍이 가신 1983년 미국물리학회를 대표해 중국을 방문한 버만은 중국의 중견 물리학자 6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1958년 밸 피치의 영입으로 프린스턴대에 자리를 잡은 크로닌은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
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페르미연구소의 충돌빔 책임자가 됐지만 바로 사임했다. 과학행정이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198 ... ...
비움으로 더 풍요로워지는 삶, 미니멀 라이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통해 인간의 기술 문명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약한 기반 위에 서 있고 얼마나 허망하게
붕괴
될 수 있는지를 체험한 것이다. 그런 체험을 하고도 소비와 자연의 파괴를 일삼는 삶을 계속 유지한다면 오히려 비정상이 아닐까? 삶의 우선순위를 다시 돌아보다 일본 같은 극단적인 체험을 겪지는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 뒤에는 뺨을 움직여 작동한다고 한다. 이런 역경에서도 정신이
붕괴
되지 않고 버틴 호킹은 진정 강한 사람임을 새삼 깨달았다. 진짜 블랙홀(위)와 유사 블랙홀(아래). 블랙홀은 중력이 아주 커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하는 천체로 그 경계가 사건의 지평선(파란 점선)이다. ... ...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
동아사이언스
l
2016.07.17
폭발이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 폭발로 인해 생긴 칼데라(화산
붕괴
지형) 역시 현재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거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면의 12㎞ 아래 깊이에서 마그마는 지하의 경로를 따라 45㎞ 이상 흘러 산의 측면으로 침범했다.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발생한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비슷한 시기 다른 의료인 네 명도 목숨을 잃은 것이다. 사실상 국가의 의료체계가
붕괴
된 상태에서 병의 확산을 막고 환자를 한 명이라도 더 구하려다 목숨을 잃은 시에라리온의 의료인이 200여 명이나 됐다고 하니 이들의 숭고한 희생에 고개를 숙인다. 그런데 이번 고생물학 논문의 경우는 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결과 태양보다 질량이 훨씬 큰 별들은 완전히 연소된 후, 즉 핵융합 반응이 끝난 뒤 중력
붕괴
를 일으켜 이런 천체가 됨을 보였지만 아인슈타인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었다. 아인슈타인이 사망하고 12년이 지난 1967년에야 이론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가 이 천체에 ‘블랙홀’이라는 이름을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
IBS
l
2015.12.30
양자 센서’와 ‘섬광 결정 검출기’를 연구하고 있다. “당시까지는 국내에 이중베타
붕괴
를 연구하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아무도 하지 않는 분야에 첫발을 딛는다는 자체도 너무 매력적이었죠. 연구하다 보니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끈 이론에 대한 생각은 학위를 마치기 전까지 완전히 잊고 지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