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스페셜
"
수술
"(으)로 총 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흡기 질환이라던 코로나19 '온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지난달 21일 폐 섬유화가 진행된 코로나19 환자의 폐를 이식하는
수술
을 진행했다. 당시
수술
을 집도했던 김형수 한림대 성심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환자의 폐를 떼어낼 때 건강한 폐와 다르게 크기도 작게 수축됐고 마치 돌덩이처럼 폐가 딱딱한 느낌이었다”고 말했다. 폐 섬유화가 발생하면 ... ...
[의학게시판] 지적장애·뇌전증 유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한기훈 고려대 의대 교수. 고려대 의대 제공 ■한기훈 고려대 의대 뇌신경과학교실 교수팀은 지적 장애와 뇌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CYFIP2’ 유전자의 뇌기능을 규명 ... 3차원 영상을, 또 하나는
수술
팀의 기구조작 모습을 보여준다. 나머지 한 화면은 360도로
수술
실을 보여준다 ... ...
코로나19 중증 환자 폐 이식 국내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수술
성공 사례다. 한림대 성심병원은 지난달 21일 코로나19 중증환자에게 폐를 이식하는
수술
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이 환자는 50대 여성으로 지난 2월 28일 한림대 성심병원에 중증 환자로 입원했다. 의식은 있었으나 산소마사크를 착용했음에도 산소 농도가 88% 이하로 떨어지는 불안정한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의료원, 마다가스카르에 가상해부 시뮬레이터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돕는 ‘최소침습 타비시술’을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티비는 70세 이상 고령이나
수술
위험성이 높은 중증 대동맥 판막 협착증 환자의 가슴을 열지 않는 시술법이다. 대퇴동맥을 통해 병든 대동맥 판막 부위에 카테터 시스템으로 인공판막을 위치시킨 후 풍선이나 자가 확장 시스템을 통해 건강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운동, 내장비만 염증활성도 줄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복강경
수술
을 통해 간 이식
수술
을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보라매병원은 “복강경
수술
로 이식 기증자의 간을 절제해 성공적으로 이식했다”며 “복강경 간 절제술은 일부 대형 상급종합병원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암젠은 공공정책 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 ...
미국은 4월로 돌아가고 한국은 5월을 극복 못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CNBC에 출연해 “텍사스와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애리조나의 병원들은 필수적이지 않은
수술
을 다시 보류하는 방안을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크리스토퍼 머레이 미국 워싱턴대 의대 보건계량분석연구소장 연구팀은 오는 10월까지 코로나19 사망자가 6만명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 ...
태국서 코로나 감염 아동의 줄기세포 이식 성공…"세계 최초"
연합뉴스
l
2020.06.24
수술
은 세계에서 처음"이라고 말했다.
수술
을 이끈 우사나랏 아누라타빤 박사는 "이번
수술
은 한 생명을 구했다는 기쁨인 동시에 태국 의학계에 또 다른 획을 그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 ...
병원 병상 배정하는데 고려사항만 50가지… AI가 쉽게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달 말부터 병원에 실제 적용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입원 예정 환자 데이터, 병상 현황 및
수술
예정 현황 데이터 등 병상 배정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AI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AI 프로그램을 병상 배정 업무 현장에 여러 차례 적용해 실효성을 검증한 ... ...
[코로나19의 유체물리학]"마스크 써도 침방울 최대 1m까지 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마스크를 쓰고 기침을 할 때의 상황을 분석했다. 분석에는
수술
용 마스크이 쓰였다.
수술
용 마스크의 다공성 필터와 침방울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해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반영했다. 그 결과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기침이 발생할 경우 일부 물방울이 최대 1m까지 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교수 루이지 갈바니(1737~1798)는 개구리를 해부하던 중 우연히 죽은 개구리 다리근육에
수술
용 메스가 닿자 개구리 다리가 꿈틀거리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개구리 다리를 이용한 여러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금속막대를 연결해 그 양 끝을 개구리 다리에 연결했을 때에도 근육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