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스페셜
"
업적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그래도 지구는 돈다
2019.11.29
집회를 열기도 했다고 한다. 결국 베네딕토 16세는 대학방문을 취소했고 갈릴레이의
업적
을 찬양하는 등 화해의 제스처를 취했다. 이 일화를 전해 들으면서 나는 이탈리아가 역시 선진국이구나 싶었다. 한국 사람들 중에는 서유럽 나라들 중에서 이탈리아를 좀 업신여기는 분들이 있다. 예전에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있다는 뿌듯한 자부심이 기초과학 연구자를 살아있게 하는 동인입니다. 결과적으로 그
업적
이 인정되어 권위 있는 상을 타면 좋은 일이지만 상 자체가 목적일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응용 가능성 있는 분야 특히 화학, 생명과학에서의 기초연구에서도 연구 결과가 특허와 기술이전으로 이어지면 ... ...
"과학자는 작은 발견의 기쁨 중시해야" 노벨상 수상자 케일린 교수 방한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실험실에서 일하다가 기초연구의 매력에 눈을 떴다. 여기에서 그는 노벨상 수상
업적
과는 언뜻 전혀 관련이 없는 유전병 분야를 연구했다. 특히 망막이나 신경, 혈관 등에 악성종양을 발생시키는 유전병인 폰히펠린다우 증후군을 연구하던 중에 이 병과 관련한 유전자가 세포의 체내 산소 농도 감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윌리엄 올리버 교수는 학술지 ‘네이처’ 10월 24일자에 논문과 함께 실린 해설에서 이
업적
을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최초 동력비행 성공에 비유하며 높이 평가했다. 3년 전 구글의 AI 알파고 충격이 생생한 필자로서는 이번 연구가 양자컴퓨터의 전환점이라고 자평하는 구글의 자신감에 감히 토를 달지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나폴레옹 3세는 프랑스를 안팎에서 어렵게 만든 암군이었지만, 그가 이룬 ‘
업적
’이 하나 있다면 마가린이다. 비싼 버터를 모든 국민이 먹을 수 없으니 대용 식품을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1869년 화학자 이폴리트 메주 무리에는 올레오마가린을 합성했는데, 이후 마가린이라는 상품명으로 ... ...
[기고]노벨상이 비추는 남루한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
2019.10.15
긴 세월이 더 필요하다는 뜻이다. 물론 평균적인 셈법이라 언제든 뛰어난 과학자와 연구
업적
이 돌연 나타날 수는 있다. 아무런 사회적인 토대가 없이 박세리가 나왔고 김연아가 세계에 우뚝 섰듯이. 일본이 노벨상 수상은 남루했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되새겨주는 것이지, 현재의 차이를 보여주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과학소설 속 상상의 존재로만 등장하던 외계행성은 현대 천문학의 주인공으로 떠올랐다.
업적
에서 수상까지 수십 년이 걸리기도 하는 노벨상인 만큼 언제가 될지는 알 수 없지만, 그들이 노벨상을 받을 것이라는 사실은 천문학자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없었다. 그리고 24년이 지나 드디어 때가 왔다. ... ...
노벨상위원회 "화학상 수상자들, 전에 없던 신개념 배터리 만든 게
업적
"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70년 동안 쓰고 있을 정도로 새 배터리를 만들어내긴 어렵다. 세 과학자들이 이룬
업적
은 아예 새로운 배터리를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리튬은 매우 작은 원소이다. 그렇기에 많은 원소를 배터리에 넣을 수 있다. 리튬은 한 방향으로 전자를 보내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리튬은 세개의 전자가 있고 ... ...
일본 과학 올해도 웃었다…노벨과학상만 24명째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교수, 스탠리 휘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와 함께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개발과 발전에 대한
업적
을 인정받아 올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조대 교수 겸 아사히가세이 명예연구원이다. 일본 오사카 출신으로 일본 교토대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그는 1972년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있는세상을 만든 공로가 인정된다"고 평가했다. 아래는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이들의
업적
보도자료 전문이다. '에너지 충전이 가능한 세상'을 만든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 리튬 이온 배터리는 가볍고 충전이 여러 번 가능해 현재 휴대전화부터 노트북,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