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여파
효과
반향
스페셜
"
영향력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위가 실종된 겨울은 '지구온난화'의 극단적 결과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서태평양 해수 온도가 올라가며 북극 한기가 갇히며 세력이 약해진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력
이 줄어든 것이다.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후 현상은 적도 지역이 더 빨리 가열되느냐, 북극이 더 빨리 가열되느냐에 따라 양상이 극단적으로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압박하고 있는 독일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AfD는 독일 동부 탄광 지대에
영향력
이 강한 정당이다. 이런 독일의 움직임에도 여전히 정부 대응이 너무 느리며 재생에너지 확대로 이어지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하는 입장도 있다. 독일 환경단체인 저먼와치의 크리스토프 발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다행히 의생명과학계에도 bioRxiv(바이오아카이브)라는 프리프린트 서버가 생겨서 점차 그
영향력
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적어도 논문심사과정에서 지연되는 시간 때문에, 과학계 전체가 새로운 발견을 빠르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문제는 해결되어가고 있는 셈이다. 두번째 문제는 폐쇄적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커피의 치매 예방 효과
2020.01.07
걸 의미하는 필자 눈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보이지만 생각보다
영향력
이 작게 느껴진다. 아쉽게도 국내 연구진의 논문에서는 참가자들의 수면 상태에 대해 알아보지 않았지만 프랑스팀의 연구결과를 보면 적어도 하루 3잔 이상 마시는 그룹은 수면에 다소 영향을 받을 것이다.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비판했다. 호주 내 신문 유가 발행 부수의 58%를 점유하며 호주 여론 형성에 절대적
영향력
을 행사하고 있는 호주 출신 미디어 기업인 루퍼트 머독은 대표적인 기후변화 회의론자다. 여기에 최근 타즈매니아 주에서 입법 추진 중인 법에 따르면 환경운동가의 시위에 최대 21년 징역형을 선고할 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2020.01.04
마지막으로 낮은 성취감은 직장이나 학교 등에서 별로 성취한 게 없으며 주변에 내가
영향력
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다는 느낌이다. 또 다른 증상들로는 주변에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없으며 홀로 고립되어 있다는 단절감을 느끼는 것이나 같은 양의 일도 이전에 비해 훨씬 많게 느끼는 것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작은 과학이 아름답다
2020.01.03
더 과학적인 방식으로 과학계가 처한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의생명과학 연구의
영향력
은 가장 탁월한 한 두명의 과학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얻어지지 않는다. 몇십명의 과학자에게 백억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방식은 과학적 혁신과 가장 동떨어진 낡은 패러다임이다. 연구실의 규모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과 보통과학자의 위기
2019.12.12
눈에 보이는 수익을 선호한다. 연구비는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정치인의
영향력
아래 있다. 정치인은 국민의 눈치를 본다. 왜냐하면 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권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치인은 빠르고 가시적인 변화를 원한다.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란 단기간에 빠른 성과를 내는 것이기 ... ...
대학원생 지원 'BK21' 예산 1.5배 확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말했다. BK21은 그 동안 참여 교수 및 대학원생의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논문 수 작성 및
영향력
지수를 상승시키는 등 대학원 연구의 양적, 질적 발전을 이끌고 연구중심대학으로의 개편을 도왔다는 평을 듣는다. 실제로 한국 대학의 SCI급 논문 참여 교수 수는 1999년 4392명에서 2017년 2만 4968명으로 ... ...
실패 확률 높지만 도전적 R&D 경제성 평가 비중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정부가 국가 연구개발(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과정에서 과학기술 선도를 목표로 하며
영향력
과 파급효과가 크지만 실패확률이나 불확실성 높은 R&D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예타 과정에서의 현장 전문가 참여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