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스페셜
"
전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교 휴교 코로나19 막는 효과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학교에서 마스크 의무화와 같은 방역 조치가 없으면 교내
전염
이 발생하고 지역사회
전염
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교내 예방조치를 시행하고 교육 종사자에게 백신을 우선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 ...
한국 근로자 10명 중 9명 "팬데믹 이후 성공 의미 달라져"
연합뉴스
l
2021.11.04
제공] 우리나라 근로자 10명 중 9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전염
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성공의 의미가 바뀐 것으로 답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근로자들 사이에서 승진이나 연봉 인상보다 '워라벨'(일·생활 균형)을 중시하는 풍토가 확산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백신 둘러싼 인본주의와 자본주의의 전쟁
2021.11.04
모든 힘을 쏟고 있다. 백신이라는 과학의 선물은 분명 한 번의 접종으로 무시무시한
전염
병으로부터 인류를 구한다는 인본주의에 기대고 있지만, 백신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기업인 거대제약사의 자본주의적 속성과는 애초부터 공존이 불가능한 셈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 ...
[과학 게시판] ‘2021 세종과학기술인대회’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9인 업적 기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발전시킨 수학자 고 임덕상 미 펜실배니아대학교 전 교수(이상 자연분야), 한국의
전염
병 치료와 연구의 기틀을 다진 고 전종휘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 한국 생명공학의 기반을 구축한 선구자 한문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대원장(이상 생명분야), 열공학 분야 기술개발을 선도한 기계공학자 ... ...
8일부터 미국서 5~11세 어린이 백신 접종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11.02
이유에 대해 백악관 수석 의료보좌관을 맡고 있는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
전염
병연구소장은 “어린이가 코로나19에 잘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어린이 감염자 중 50%가 무증상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미국의학회지(JAMA) 소아과’에 게재된 ... ...
돌파감염 접종 완료자도 미접종자만큼 코로나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1
그 결과 백신 미접종자가 가족에게
전염
시킬 위험은 38%였고, 접종완료자가 가족에게
전염
시킬 위험은 25%였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상기도에서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 없이 바이러스 부하가 평균 최대 8.14log copy/mL인 것으로 나타났다. copy/mL는 몸에서 채취한 샘플 1mL ... ...
[프리미엄 리포트]벌레잡이풀·벌집 닮은 표면이 '바이러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21.10.30
필름을 물체에 입힌다면) 바이러스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포집돼 접촉에 의한
전염
을 막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발적으로 블랙홀에 갇힌 바이러스 벌레잡이통풀은 식충식물로 파리 등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이 식물은 표면을 미끄럽게 만들어 벌레가 앉으면 미끄러져서 ... ...
"코로나19 바이러스 공통 조상 2019년 10월 첫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1.10.29
2(SARS-CoV-2). 미국 국립알레르기
전염
병연구소(NIAID) 제공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 양상과 진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시기 미국 ... ...
노벨상 수상자가 만든 감염력 없는 바이러스 복제품, 코로나19 연구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만든 C형 간염 레플리콘은 실제로 약물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전염
력이 강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레플리콘을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부위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RNA 부위는 빼 버렸다.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서 자신을 ... ...
파우치 “델타 능가할 변이 안 나타날 것…하지만 새 변이 막기 위해 백신 접종률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제공 백악관 수석 의료보좌관을 맡고 있는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
전염
병연구소장은 "미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강한 변이는 출현하지 않겠지만 새로운 변이 출현을 막기 위해 백신 접종률을 반드시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