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스페셜
"
조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초 잇단 악재 불구, 그래도 우린 간다'…민간발사체 기업들 다시 약진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듯 했으나 다시금 한발자국 씩 나아가고 있는 모양새다. 새로 지을 통합우주센터의
조
감도. 로켓랩 제공 로켓랩 역시 이런 분위기에 한몫 했다. 2006년 창업한 로켓랩은 소형발사체 ‘일렉트론’을 개발하고 2017년부터 상업 발사를 해온 소형 우주 발사체 업계 강자다. 3만여개의 로켓 부품을 100 ... ...
서울대는 왜 과학학과를 설립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3.02
관계 설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30
조
원 시대를 맞아 과학기술의 본성과 역사적 발전 과정을 탐구하고 과학기술과 사회가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를 분석해 과학기술의 윤리적, 법적 쟁점을 연구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과 ... ...
러 연구소 공동연구·우주개발 협력 잇단 중단…러 과학계 "고립 안될 일. 전쟁중단"서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1
우크라이나 정부가 서방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군사 지원을 받고 있으며 북대서양
조
약기구(NATO)와 유럽연합에 가입하면 서방의 무기가 자국 국경을 마주하며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지난달 24일 우크라이나의 북쪽과 동쪽, 남쪽에서 동시에 침공을 시작했다 ... ...
차세대중형위성2호·아리랑6호 발사 사업도 러 제재로 '위기'
2022.02.28
계속해 미국과 러시아 민간 우주협력을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스코스모스도 두
조
직이 함께 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분야 협력 중 일부는 이미 중단되기 시작했다. 로고진 국장은 26일 성명을 내고 금성 탐사 공동임무 ‘베레나-D’에서 미국을 제외하겠다고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D프린팅 기술로 가스터빈 소재·부품 국산화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등 국내 중소기업들과 손잡고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가스터빈은 현재 해외 제
조
사가 정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합금 분말을 레이저로 녹여 금속 표면에 증착하는 공정인 블레이드 재생용 레이저 클래딩 기술을 개발하면 전량 국내 수리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기대다. ... ...
국제연구진, 코로나19 사태 발원지는 '중국 우한시장' 지목한 논문 2편 동시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7
켄터키주의 랜드 폴 공화당 상원의원은 우한 연구소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두고
조
바이든의 수석 의료 고문인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소장과 마찰을 빚어왔다. 26일(현지시간) 개방형 정보 플랫폼 '제노도'에 공개된 두 보고서는 아직 동료 평가를 거쳐야 하는 과학 ... ...
"UAE 화성탐사선 성공은 실패 공유하는 문화 만든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2.27
계획하고 있다”라며 “대신 우리
조
직 내 동료들이 서로 검토해주는 방식이다.
조
직과 구성원 내 신뢰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바이 모하메드 빈 라시드 우주 센터의 위성 관제실. ... ...
2022년 발사체·위성·우주탐사 다한다...7340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우주개발에 대한 열기가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 부처와 연구기관들이 지속 소통하고 협
조
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했다 ... ...
[우주산업 리포트]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맹활약'하는 우주기업들
2022.02.25
것”이라고 했다. 이어 “상업용 위성사진은 NRO가 추진하는 민관 하이브리드 정찰 구
조
에 핵심적인 요소”라고 했다. 미 우주군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23억 달러(약 2
조
7400억 원)를 들여 상업용 위성사진을 포함한 위성 서비스, 통신망, 장비를 임대해 우주군이 현재 보유한 우주 자산과 통합해 ... ...
[KAIST ISPI국제포럼]"전략기술 육성에서 안보 논리는 '명분'일뿐 사실상 산업정책의 부활"
동아사이언스
l
2022.02.24
소장이 좌장을 맡고 최 국장과
조
연구위원을 포함해 김진우 KAIST 교수와
조
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이정민 KAIST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