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들후들~ 기숙사 귀신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그 학교를 다니는 동안 일 년에 한 번씩은 꼭 귀신을 보게 된다나?“너무 겁먹지 마세요.
공동
묘지에 세워진 학교에는 그런 소문이 있게 마련입니다. 소문은 소문일 뿐, 사건은 과학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그런데 닥터고글, 팔에 소름이 돋은 것 같은데 혹시…?”“하하하~, 좀 춥군요. 흠흠!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브라운은 꽃가루를 물 위에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화학과 앨런 맥더미드 교수와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앨런 히거 교수는 이소식을 듣고
공동
연구를 제안했어. 그리고 10년 뒤 정말 금속 같은 플라스틱을 개발하는데 성공했지. 고분자 박막에 요오드 증기를 입혀 산화시키자 전기전도도가 1000만배나 증가했거든. 이러한 조작을 도핑이라고 불러 ... ...
머리카락 굵기도 유전자가 결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EDAR 유전자가 머리카락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논문의
공동
저자인 토카이의대 료스케 키무라 교수는 “고대인의 유골을 발굴했을 때 그가 어떤 인종인지 밝히는데 EDAR 유전자가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 ...
고대 바이러스로 에이즈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간 전체 게놈의 8.29%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UCSF)와 캐나다 토론토대
공동
연구팀은 HERV 백신으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HIV를 파괴하는 방법을 ‘공공과학도서관 병리학’(PLoS Pathog)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의 T세포에 들어간 HIV가 HERV를 억제하고 있는 제어시스템을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디지털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공동
의 전송조절 프로토콜과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해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컴퓨터로 제어되고 만들어지는 가상세계통신 시민을 뜻하는 전자통신시대의 세계인언론사의 데스크처럼 기사나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엑사시스’(eXasis)였다. 스위스 자동차업체인 린스피드와 바이엘머티리얼사이언스사가
공동
개발한 엑사시스는 철판 대신 ‘마크로론’이라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으로 차체를 만들었다.투명한 마크로론은 철과 유리의 장점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무게는 유리의 절반이다. 그 결과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방송미디어연구그룹은 한국정보통신대, 소프트웨어회사인 코아브리드, 서울대병원과
공동
으로 색상변환기술을 개발했다. 색각장애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 같은 디지털콘텐츠의 색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술이었다. 당시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TV에 적용해 색각장애우를 위한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야구공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잡는다는 내용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사진 부문_
공동
1등 콧속에는 무엇이 있을까카이훙 펑 | 중국 파멜라유드니더슬이스턴 병원우주에서 날아온 외계인이 이런 모습일까. 큰 귀가 양쪽에 달렸고 머리에는 불룩한 뿔이 났으며 입은 마치 곤충의 입과 비슷하다.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현재 두 사람은 다양한 줄기세포에서 마이크로 RNA(miRNA) 발현 패턴을 분석하는 새로운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 miRNA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분자로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miRNA 발현 패턴을 비교하면 줄기세포 사이에 분화능과 증식력이 차이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