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임"(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자, 모니터를 보세요. 현재 아만자 씨의 위 상태는 이렇습니다. 암덩어리가 보이시죠? 혈관과 신경이 다치지 않도록 종양을 잘 분리해 떼어낼 것입니다.”아만자가 모니터의 의료영상 시뮬레이션을 지켜보며 힘없이 묻는다.“저…, 수술은 잘 되겠죠?”“아, 모든 수술 과정은 워드프로세서형 ... ...
- 당신도 '프로슈머'입니까?과학동아 l2007년 02호
- 평범한대학생이었던 임정현 씨는 지난해 8월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취미로 기타를 치던 임씨가 캐논의 파헬벨을 기타로 연주하는 모습을 직접 찍어 국내 한 포털에 올렸고, 이 동영상이 미국의 동영상 공유사이트인‘유튜브’에서 엄청난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뉴욕타임스가 극찬한 것이 시작이었 ... ...
- 진정한 유비쿼터스 시대 눈앞에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집에 들어오기만 해도 휴대전화나 노트북이 저절로 충전된다. 휴대기기가 전선(電線)을 벗어나는 시대가 머지않았다.미국 MIT의 마렌 솔야체크 박사는 적당히 떨어진 전원에서 특정한 진동수의 전자파로 에너지를 보내 무선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하는 기술을 지난 11월 14일 미국 물리학 포럼에서 ... ...
- 괴짜들이 만났다!과학동아 l2007년 01호
- 20세기 철학의 지형도를 바꿔 놓은 언어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엔지니어 출신이었다. 19세기 사회사상가이자 경제학자인 칼 마르크스는 고대 원자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철학의 거봉으로 불리는 18세기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우주의 생성을 역학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제시했 ... ...
- 나는 어떤 얼굴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한국, 중국, 일본 사람들은 매우 비슷하게 생겼어요. 지만 우리는 얼굴만 보고도 한국 사람인지, 중국 사람인지, 일본 사람인지 어느 정도 알아맞힐 수 있지요. 그러나 한국인의 얼굴도 다 같지는 않답니다. 지금 당장 한국인의 얼굴을 한번 보세요. 주변에 아무도 없다구요? 거울이 있잖아요. 거울 ...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우주 최대 난제 푼 뉴턴슈타인 박사, 5년치 노벨물리학상 거머쥐다!”2030년 10월 어느 날 뉴욕타임스, BBC, 동아일보에서 1면에 대서특필한 제목이다. 노벨위원회가 한 과학자에게 5년치 노벨상을 몰아주기로 한 결정은 전대미문의 사건이다. 도대체 뉴턴슈타인 박사의 업적이 뭐기에 이렇게 호들 ...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초상화다. 그런데 아직 모델의 성별은 불분명하다. 신비한 미소를 띤 표정에서 여자라고 추측할 수 있지만 모나리자가 여장 남자라는 주장부터 양성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얼굴만 보고 남자와 여자를 구분할 ...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찬바람이 부는 1월은 맑은 날이 많다. 몸이 절로 움츠러들어 밖으로 나가고 싶지 않은 계절이지만 맑은 하늘에 찬란하게 빛나는 별은 여느 때보다 우리를 유혹한다. 겨울밤을 수놓는 별들 중 주황색 별 하나가 반짝인다. 황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알데바란이다. 겉보기등급 0.9 등급의 알데바란 ... ...
- 신구간을 아시나요?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제주도에는 대한 후 5일에서 입춘 전 3일 사이에 집을 고치고 이사하는 ‘신구간’(新舊間)이라는 특이한 풍속이 있다. 이 풍속이 언제 시작됐고 어디서 유래했는지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마다 1월 25일부터 2월 1일 사이가 되면 제주도는 이삿짐 행렬로 장사진을 이룬다. 왜 제주도에만 이런 풍속이 ... ...
- 떴다! 웹 2.0과학동아 l2007년 01호
- 조지 고든 바이런의 말을 인용하자면 어느 날 자고 일어나니 웹 2.0의 시대가 돼 있었다. 웹 2.0은 변화의 흐름이고 방향이다. 웹 2.0은 어느 날 갑자기 시작된 변화도 아니고 아직 완결되지도 않았다. 변화는 아주 오래 전에 시작됐고 여전히 진행 중이다.새롭다, 2.0 시대 웹 2.0이라는 말을 처음 만든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