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역대
수상
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97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한 휴이시의 경우 그의 공동연구자인 대학원생 버넬양 덕분에
수상
할 수 있었다고 하여 영국에서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노벨상 후보지명에 작용하는 정치성이나 인맥도 심각한 문제다. 80년대 10년간 노벨상위원회의 화학분과위원장을 맡았던 보 말름스트롬이 지난 1988년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길먼과 로드벨세포간 신호전달의 열쇠 G단백질 규명올해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
자는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 기능을 맡고있는 'G단백질'을 발견한 미국의 알프레드 길먼 교수와 마틴 로드벨 박사. 이 연구가 진척되면 암이나 정신신경계 질병예방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올해 노벨 ... ...
이곳만은 지키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원시의 건강함을 잃지 않고 있는 자연 생태계 54곳을 발굴해 만들어 작년 디자인 대상을
수상
한 책으로도 유명하다. 국내의 CD-ROM 타이틀 제작 방향이 아동 교육용이나 어학용 등 '돈 되는' 것에 편중돼 있는 상황에서 이같이 첨단과학기술의 산물인 CD -ROM과 환경 보호의 만남은 뜻깊은 일이 아닐 수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다만 유행성출혈열은 한국이나 중국 등에만 발생하는 질병이라는 점이 노벨상을
수상
하는데 불리하다는 중론.의학생리학상은 주가가 치솟고 있는 분자생물학과 유전자 관련 분야가 갈수록 강조되는 추세. 이밖에 단백질 암 AIDS 노화 등 단골 주제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다른 분야와는 달리 '별난 ... ...
지구과학 - 신대륙이동설 판운동의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1688년 플라셋은 "노아의 홍수 이전에 미국은 세계의 다른 부분과 붙어 있었다"라는 가상
수상
록을 쓰기도 했다. 이로부터 2백년 후 스나이더는 석탄기의 유럽과 미국의 식물 화석의 유사성에 놀라 모든 대륙은 옛날 하나의 대륙이었다고 주장했다.19세기 말에 들어 오스트리아의 지질학자 슈스는 ...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모든 파충류의 조상인 주용류(主龍類)가 존재한다는 것. 그 일부가 진화해 빠른 시기에
수상
(樹上)생활에 들어가 곤충을 잡아먹다가 날개를 달게 된다. 이를 오르세프스키는 공룡조(dinobird)라 부른다. 공룡조 중 일부는 익룡으로, 일부는 날기를 멈추고 대형화된 공룡그룹으로, 나무 꼭대기에서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열대우림 속에
수상
거주자들이 살고 있다. 북쪽으로부터 이주해온 인간집단들이 이
수상
거주자들과 공존하게 되는데, 이 지역은 과실 등 풍부한 음식을 구할 수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만이 유일하게 생활에 비교적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는것이다 ... ...
(4) 지구 떠나 새 행성을 살 곳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3백만년 후 식인종 집단도 나타나한편 열대우림 지역에서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
거주자들이 진화한다. 이들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산다. 음식이 풍부하고 환경에 변화가 없어서 대단히 게으르고 근친혼으로 유전적인 능력이 대단히 쇠퇴해 있다. 이들은 나무 위의 생활에 적합하도록 발도 ... ...
1 아날로그·디지털전쟁, 누가 승자일까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온 전화도 인간에게 전달되려면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해야 한다. 디지털위성방송도 TV
수상
기에서는 아날로그신호로 바뀌어야 시청자들이 알아본다. 디지털의 출발과 종착역은 아날로그다. 그렇다면 디지털은 영원히 아날로그에 승리를 거둘 수 없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가량의 외계 물체였다는 것이 요즘 정설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다. 이 설은 1980년 노벨상
수상
자인 알베느르 박사가 처음 주장한 것으로, 그후 대규모 화산폭발설과 더불어 논쟁이 계속돼 왔다. 그러나 이 논쟁은 6천5백만년 전의 지층에서 혜성이나 소행성 등 외계 물체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이리듐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