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문에 연료 탱크 크기를 작게 줄이는 일이 커다란 과제가 되고 있다.벤츠사는 수소
저장
합금 탱크 무게를 3백20㎏으로 줄였으나 앞으로 얼마나 더 무게를 줄이느냐에 따라 수소자동차의 실용화가 앞당겨질 수 있다. 연료를 충전할 때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추운 날씨에도 시동이 잘 걸리도록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1. 문제 해결 프로그램은 "C:\IOI\DAY-2\422-PROG.xxx"라는 이름으로 아스키 파일 형태로
저장
하고 확장자는 .BAS, .C, .LCN(LOGO program), .PAS로 하라.조건-2. 다음의 조건에 해당하면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다.-N이 1보다 작거나 100보다 크다.-P가 1보다 작거나 10보다 크다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로켓모터와 자세조정을 위한 32개의 소형 로켓모터가 장착된다. 미르는 이외에도 연료
저장
소와 열제어 시스템 및 접속장치를 가지고 있는 총길이 13m에 지름 4.2m의 대형 우주정거장이다. 이 정거장은 지구와의 통신을 언제나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지구정지궤도에 있는 위성들과 통신망을 구성하고 ... ...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산소투과성렌즈는 매일착용형으로 만들어졌다. 즉 밤에는 렌즈를 빼서 세척·담금액에
저장
해야 원칙이다. 그런데 이 렌즈는 아주 착용감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연속착용렌즈처럼 사용해오고 있다. 물론 이것은 매우 위험한 습관이다.산소투과성렌즈의 소재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콜라겐 ... ...
1. 책상위에서 모든작업 「완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다는게 전문가의 얘기다.대개의 경우 편집할 문자와 그래픽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
해 두고 작업한 뒤 플로피디스크에 백업을 받아 두는 방법을 쓰고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의 용량은 큰 것이 좋다.다양한 출력 기능도 중요한 문제. 제 아무리 편집을 뛰어나게 했다손 치더라도 출력이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그러므로 전원이 꺼져도 항상 기억할 수 있고 최대 기억용량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
하기 위해서는, 마치 사람이 공책을 사용하듯 이 컴퓨터도 보조기억장치라는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는 메인보드 밖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하드디스크(HD)니 플로피 디스크니 하는 것이 바로 이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포터(Beatrix Potter)였다. 그는 정확하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 생물의 균류협조자가 물을
저장
하고 연약한 조류세포층의 피신처가 되며, 그를 감싸서 보호한다고 상상하였다. 결국 조류공생자는 먹이를 만드는데 그것은 염록소를 가지고 있는 조류가 광합성을 통하여 태양의 에너지를 이용, 자기자신과 ... ...
2. 국산 DTP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호환성이 뛰어나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행정전산망용 문서나 스키 문서를 읽고
저장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 파일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한글 윈도우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등 윈도우의 편리성을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우리나라 위성임을 증명하는 한국말 방송 기능이다. 지상에서 송신된 음성신호나 음악을
저장
하고 있다가 한반도 상공을 지날 때 지상에 쏘면 일반 국민들이 라디오로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우리별에 구현한 것이다. 방송내용에는 인공위성 위치나 온도 등 위성과 직접 관련된 사실을 비롯해 ... ...
바다는 이산화탄소의 거대한
저장
탱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옮겨진 이산화탄소는 매우 오랜 기간을 머물 수 있는 것이다. 바다가 이산화탄소의
저장
고라고 불리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1,2천년이 지나면 심해수가 표층수로 변해 다시 이산화탄소를 대기에 토해놓을수 있지만 당장은 이산화탄소를 잡아놓는데 바다는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셈이다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