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산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여성에서 발견됐다.아이슬란드 생명공학회사인 디코드 제네틱스의 연구진은 과학
학술
지 ‘네이처 제네틱스’ 최신호에 ‘다산 유전자’를 가진 여성이 통계적으로 많은 수의 자녀를 출산한다고 주장했다. 이 유전자는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유전자가 약간 변한 변이 유전자다.연구진은 ... ...
짝짓기를 위해 암컷으로 변장하는 호주 오징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수컷에 둘러쌓인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교묘하게 암컷으로 변장한다는 사실이 과학
학술
지 ‘네이처’ 1월 20일자에 소개됐다.미국 우드홀 해양생물학실험실의 해양생물학자 로저 핸론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수천 마리의 호주 오징어를 몇 년 동안 관찰했다. 호주 오징어의 수컷 수는 암컷에 ... ...
공룡 잡아먹는 포유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발굴된 1억3000만년 전의 원시 포유류 위 속에서 작은 공룡의 잔해를 확인했다고 과학
학술
지 ‘네이처’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이 화석은 당시 포유류가 작은 공룡들을 사냥했다는 최초의 증거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6500만년 전 공룡이 멸종한 뒤에야 포유류 몸집이 커졌으며 공룡과 함께 살았을 ... ...
사이언스 온라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정보가 백과사전 코너에서 제공된다. 이외에도 원자력 관련 기관에서 발행하는 단행본,
학술
지, 보고서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문헌정보 코너와 신문기사, 게시판 등이 있다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21일부터 사흘간의 일정으로 국내에서 1905년에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주제로 합동
학술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4월부터는 매주 전국을 순회하는 ‘대중과 함께 하는 물리 강연’ 행사가 열린다.이밖에 포항공대 내 설립된 아태이론물리센터(APCTP) 등 각 지역별 전시회도 주목할 만 하다. 센터는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과학자들의 반응은 냉소적이었다.게다가 1914년에서 1918년까지는 전쟁 중이어서 독일
학술
잡지가 영국으로 들어갈 방법이 없었다. 영국에서 상대성이론을 처음으로 소개한 사람을 왕립 천문학회 간사였던 아서 스탠리 에딩턴이었다. 그는 전쟁 중 네덜란드에 살고 있던 드 지터로부터 아인슈타인의 ... ...
살 빼려면 잠 잘 자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1월 16일 북미비만연구학회
학술
회의에서 발표했다.이에 따르면 잠자는 시간이 하루 7~9시간 수면을 취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할 때, 비만이 될 확률은 수면시간이 평균 6시간이면 23%, 5시간이면 50%, 4시간 미만이면 73% 더 높아진다.이 결과는 운동습관 ... ...
초파리서 식욕촉진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전달해 식욕을 촉진하게 만드는 유전자인 sNPF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논문은 국제
학술
지인 ‘생물화학저널’(JBC) 12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유 박사는 “초파리에게 sNPF를 2배 가량 많이 삽입시키자 정상 초파리에 비해 음식섭취량이 3배 늘고 체중이 25% 증가했다”며 “sNPF가 식욕을 담당하는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더 집중하도록 요구 받은 집단일수록 고릴라를 발견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과학
학술
지에 제출한 이 연구논문의 제목을 ‘한가운데 있는 고릴라’ 라고 지었다.대중보건상은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을 떨어진 뒤 5초 안에만 먹으면 괜찮다는 연구, 공학상은 머리가 벗겨진 사람을 위해 개발된 빗에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세계 모든 반도체에 적용되는 것이다.그는 올해 3월 물리·화학·재료 분야의 세계적
학술
지 ‘고체물리 재료과학 리뷰’ 편집위원으로 선임되는 영예를 안았다. 연구업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 게다가 문 박사는 표준과학연구원에서 원장보다 높은 최고액의 연봉을 받는다. 청소년들이 과학에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