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본격적인 네발로봇에 비하면 성능이 떨어진다”며 “아직 연구개발 단계지만 평보
형태
를 기본으로 한 뒤 필요하면 속보 기능도 추가할 생각”이라고 말했다.휴보팀은 이 로봇으로 DARPA의 ‘재난구조로봇 경진대회(DARPA Robotics Challenge)’ 1차 심사 결과 최종본선에 오른 6개 팀에 선정됐다. 본격적인 ... ...
실버사회 지켜줄 아이언맨 군단 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후 연평균 69%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 또한 10년 전부터 여러
형태
의 로봇 연구를 진행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전철을 타기 위해 계단을 뛰어 올라가고, 힘든 운동 없이도 힘이 세지는 미래를 만나보자.글 이우상 기자 | 후원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해를 끼치지 않는 오리지널 숙주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모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형태
는 철새 안에서 찾을 수 있다. 철새는 인플루엔자에게 안락한 고향인 것이다. 둘째로 바이러스가 감염시킬 수 있고, 병을 앓는 숙주가 있다. 정 교수는 “바이러스가 새로운 숙주를 만났고, 아직 그 시간이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잡는 식물이 자주범의귀인 셈이에요. 자주범의귀는 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는 땅위를 기는
형태
로 많이 자라요. 안정적인 서식처에서는 곧게 선 직립형으로 자라죠. 환북극 동토층에서 빙하가 최근 후퇴한 지역에는 기는형의 자주범의귀가 주로 발견되고 있어요. 아직 환경이 충분히 안정적이지는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것은 바이러스에게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다. 바이러스 학자들이 가장 잘 진화된
형태
로 꼽는 HIV는 숙주인 사람을 아무런 치료 없이도 보통 10년에서 15년 간 살려둔다.그런데 그런 바이러스의 의도가 잘 먹히지 않을 때가 있다. 바이러스가 전혀 새로운 숙주와 만났을 때다. 2004년 1월 태국에서 한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매우 독특한 지형을 만들어낸다. 브라이스 캐니언에서는 일단 석회암이 용해돼 탄산칼슘
형태
로 씻겨 내려간다. 겨울이 되면 수분이 바위틈에서 얼어붙으면서 팽창해 물리적 풍화가 이루어진다. 고도가 높아 이런 수분팽창 주기가 1년에 약 200회 정도 반복된다. 하지만 풍화에 상대적으로 강한 ... ...
퍼즐로 놀았더니 수학 점수가 쑥!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할 때 머릿속에서 물건을 옮기는 등의 상상을 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며, “어떤
형태
나 공간을 쉽게 떠올리는 연습이 잘 되면 자연스럽게 연산 실력도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소련 정부에 체포되어 연행되었는데, 미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선 후에야 추방의
형태
로 풀려날 수 있었다.미국 내에서도 그는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는 운동에 적극적이었고, 당시 미국을 휩쓸던 반전운동의 성지였던 버클리에서 이런 입장을 거침없이 밝히곤 했다. 이런 이유로 한때 곤란한 ... ...
밍크고래는 남극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64년 전에 죽은 밍크고래 뼈를 지금도 볼 수 있는 거랍니다. 연구팀은 뼈가 거의 완전한
형태
로 보존될 수 있는 이유를 더 연구할 계획이래요.우와, 나에게도 그런 ‘오아시스’가 있으면 좋겠다~.인간은 고래보다 한참 작지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크잖아요. 인간이 생태계의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함수란 이름은 1980년대 영국의 수학자 데이비드 톨이 곡선의 모양과 블라망주 푸딩의
형태
가 닮은 것을 보고 붙인 이름이다.그런데 왜 이 곡선이 수학자들을 매혹시킨 걸까? 19세기까지 수학자들은 ‘끊어지지 않은 연속함수는 모든 점에서 기울기를 구할 수 있는 미분 가능 함수’라고 생각했다.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