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05
수 없는 국가간에는 전화선을 이용하기로 한 약속을 따른 것이다.부산에 도착한 빛은
이후
약 40분간 포항, 대구, 전주, 대전, 청주를 거쳐 최종 목적지인 서울에 입성했다. 부산의 횡령산을 시작으로 전국의 40여개 산봉우리에서 할로겐 손전등을 밝혀 서울의 남산까지 보내는 '봉화' 방식을 이용했다.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05
만일 주인공이 충격적인 기억을 잊고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기억상실증에 걸렸다면 13세
이후
의 모든 기억 대신 친어머니에 대한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잊어버릴 것이다. 다만 서울대 이경민 교수는 “기억상실증에 걸려 연인을 알아보지 못해도 과거에 사랑하던 감정을 느낄 수는 있다”고 했다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05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온도인 약 1조℃ 이상의 상태를 재현했다. 초고온 초고밀도의 ‘모의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05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문법이나 어휘를 이해할 수 있는 건 음운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후
다. 아기가 말을 배울때 스스로 문장을 만들기까지 수년은 걸린다. 이 교수는“문법이나 어휘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형성되기 전에 과도한 교육을 시키면 오히려 뇌에 스트레스만 주는 결과밖에 안된다”고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05
권고했다. 또 우주비행사의 탈출 시스템의 안전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했다.
이후
NASA는 1988년 9월에야 우주왕복선 비행을 재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챌린저호 사고 후 17년만인 2003년 컬럼비아호가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 폭발해 NASA는 또다시 우주왕복선 폭발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05
오늘 롭해즈는 도로 옆에 설치된 모의 사제폭발물 탐색에 나섰다. 2003년 이라크전 개전
이후
도로에 설치된 사제폭발물은 다국적군에게 큰 손실을 입혀왔다. 자이툰 부대가 아르빌로 이동하는 파발마 작전 중에도 수차례 사제폭발물의 위협이 있었다.폭발물처리팀의 트럭에서 내린 롭해즈는 도로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05
산파 역할을 하고 있다. 몇 년 동안 대전시청을 설득해 4년 전 대전시민천문대를 세웠다.
이후
붐이 일기 시작한 시민천문대는 곧 전국에 10개로 늘어날 예정이다.“어렸을 때 별을 보며 자란 사람들은 뭐가 달라도 다릅니다. 별을 본 사람들은 공군 조종사가 돼도 적 전투기를 쏘는 대신 우주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04
배출원, 음(-)의 값을 가지면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이 된다. 2003년 관측소 설치
이후
최근까지 관측된 자료에 나타난 숲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세계의 온대지역 숲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다른 온대지역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관령의 숲, 나아가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04
기억상실증이 나타난다. 영화 ‘메멘토’나 ‘첫키스만 50번째’의 주인공처럼 뇌 손상
이후
일어난 일들은 불과 몇 분에서 몇 시간이 지나면 의식에서 사라진다. 조금 전에 만났던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고 하루 전에 들었던 뉴스도 기억하지 못한다. 뇌 손상 후 몇십년이 지나 거울에 비친 달라진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키워서 훈련시키는 게 아이들의 큰 꿈이었지요.”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사냥매를 받은
이후
지금까지 매와의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박용순 응사는 매사냥의 전통이 사라지고 있는 현실이 아쉽기만 합니다.“어떻게든 매의 주인이 되고 싶어서 매가 알을 낳는 봄이면 둥지를 찾아서 온 산과 들을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