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전체
총체
첫머리
모든
온갖
d라이브러리
"
모두
"(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사람도 평범한 사람이 오랜 시간 붙들고 익힌 것을 노력 없이 금방 얻지 못해요. 수학은
모두
에게 쉽지 않은 학문이어서 증가 속도가 점점 커지는 지수함수처럼 결국 오래 붙들고 있는 사람이 더 잘한다고 믿어요 ... ...
[프로듀스X101] 투표 조작 의혹 한방에 정리하는 수학 정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7494.442에 임의의 자연수 n을 곱한 수를 소숫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얻은 정수는
모두
f인 7494와 f+1인 7495에 음이 아닌 정수를 곱한 값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분위기에 걸맞은 역동적인 분배법입니다. 마지막 감축법은
모두
자르는 사람인 동시에
모두
선택하는 사람이 되는 방법인데, 더빈스와 스패니어는 여기에 케이크 위를 움직이는 칼을 적용했습니다.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바닥에 평행하게 칼이 움직일 때, 원하는 지점에서 참여자가 ‘멈춰라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오전 11시만 되면 “Go”나 “No Go”라 적힌 메일이 왔어요. 전파 망원경 8곳의 날씨 가
모두
좋아 “Go”라는 메일이 온 날에는 관측 준비를 했답니다. 매일 런 연락을 주고받다 보니, 전 세계에 흩어져 있어도 연구자들끼리는 친해 질 수밖에 없었어요. Q 처음 블랙홀의 이미지를 봤을 때 기분이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존 플렉시블 기판의 경우, 플라스틱 자체의 소수성 때문에 전극이 정확도와 해상도를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웠다.연구팀은 ‘방향성 젖음 국지화(directional wetting localization)’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이 문제를 극복했다.방향성 젖음 국지화는 기판에 원하는 패턴을 새긴 뒤 액체 전도성 ... ...
ebay에 경매로 나온 명품 공룡 화석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방문했다. 지금은 뉴스에 나온 17마리보다 훨씬 많은 공룡 화석들이 전시돼 있다.
모두
불법으로 해외에 반출됐다가 돌아온 것들이다. 이들을 보고 있으면 그동안 이렇게 많은 공룡 화석들이 도굴됐다는 사실에 씁쓸함이 밀려온다. 동시에 무사히 고향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에 안도감을 느낀다. ... ...
[프로듀스X101] 수학 정리로 알아보는 투표 조작 의혹 쟁점3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원이 알아낸 수학 정리는 네티즌이 제기한 의혹을
모두
설명할 뿐 아니라 어떻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 이번 사건이 최종 순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쟁점1. 제작진의 해명은 의혹과 모순된다?제작진은 ... ...
리그 오브 레전드 만드는 챔피언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한국에서만 게임 포인트를 얻거나 아이템을 모아야 고를 수 있는 챔피언을 PC방에서
모두
고를 수 있도록 혜택을 주죠. 또 전세계에서 인구 대비 플레이어 수가 엄청나게 많아요. 한국보다 인구가 많은 미국도 플레이어 수가 한국보다 적죠. 더 놀라운 건 들쭉날쭉해도 플레이어 수를 10년 동안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과 초피의 매운맛을 내는 산쇼올
모두
감각신경계를 자극하는 일종의 통각이라는 점은 같다. 하지만 캡사이신이 감각신경을 활성화시켜 화끈한 매운맛을 내는 반면, 산쇼올은 감각신경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얼얼한 매운맛을 내는 점에서 체내 ...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연구 분야별 균형이 붕괴됐다. 최 교수는 “현재 각 대학의 소재 연구를 들여다보면
모두
가 당장 산업에 적용할 수 없는 차세대 소재들만 연구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잘 알려진 소재를 개선하는 연구보다 차세대 소재를 연구해야 피인용 지수가 높게 나오고, 그래야만 정부로부터 좋은 평가를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