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체적탄성과 모양의 변화에 대해 일어나는 형상탄성으로 나뉜다 탄성은 예외없이 모든
물체
에서 볼 수 있다 고체에서는 힘이 어느 한계를 넘으면 탄성이 없어져 힘을 제거하더라도 변형된 채로 남는다 이 한계를 탄성한계라고 한다 이 한계점을 넘어 더 힘을 가하면 갑자기 변형이 크게 증가,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제트추진연구소 연구팀은 J002E3의 궤도를 과거로 되돌려 역추적했다. 그 결과 수수께끼의
물체
는 1971년 경 발사돼 태양을 공전하다가 최근 지구 중력에 붙잡혔을지도 모른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첫 후보는 1971년 1월 발사된 아폴로 14호. 하지만 당시 임무에 사용됐던 다단 로켓의 경로를 관제소에서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이상 크다. 충격음파총은 현재 초음파 대역의 펄스 음파를 발사하는데, 초음파는 공기나
물체
에 비교적 쉽게 흡수돼 가까운 거리에서만 효과가 있다. 최종 모델은 6-10kHz의 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발사해 수십m까지 위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한다.이 음파 무기는 두가지 방식으로 비행기 납치범을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확실한 증거’(1996)에 따르면, 과학수사에 사용되는 기본원칙 가운데 하나는 어떤
물체
가 눈으로 보이지 않을 때는 빛을 비추는 각도를 바꿈으로써 그것이 보이게 하라는 것이다. 거실 바닥이나 가구의 표면을 전등으로 비스듬히 비춰보라. 그러면 온갖 종류의 체모와 섬유, 그리고 전에 볼 수 ... ...
우주대포 제안자 쥘 베른 탄생 1백75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약점에도 불구하고 대포는 1942년 독일의 로켓 V-2가 성공적으로 비행하기 전까지 인공
물체
를 가장 높이,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는 발사체였다.무기와 우주개발 사이에서 좌절된 꿈쥘 베른의 우주비행법을 처음으로 진지하게 연구한 것은 1926년 독일의 우주여행협회(VfR)였다. 로켓개발의 선구자인 막스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달에 있는 거대 크레이터를 만든 1백50km 크기의 투사체를 상상하다가 이보다 더 큰
물체
가 지구에 부딪친다면 달이 형성되기에 충분한 물질이 주변 궤도에 뿌려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알프레드 카메론과 윌리엄 워드는 지구와 달 시스템의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반사경을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반사망원경의 일종 반사망원경은
물체
의 빛을 촛점에 모으는 반사경과 모인 빛을 눈 근처에서 확대시키는 접안경으로 구성된다 카세그레인식은 경통 입구에 쌍곡선면 또는 타원면의 반사경을 설치하여 1백80˚ 꺾은 후 이 빛을 주포물면경의 ... ...
②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무엇일까. 전하가 운동하면 주위에 전자기파가 방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질량을 가진
물체
가 운동하면 주위에 중력파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원리적으로는 우리가 헤어질 때 손을 흔들어도 중력파는 방출된다. 이런 현상은 마치 우리가 고요한 연못에 돌을 던졌을 때 원형의 물결이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필연적으로 우생학으로 향한 문을 연다. 일부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마치 인격이 아닌
물체
인 것처럼 조작하려는 유혹에 빠지면서 인간 존엄성을 비롯한 중요한 사회가치를 파괴할 것이란 얘기다.사실 우생학적 프로그램에 의해 인간을 개량할 수 있다는 생각은 인간의 특질과 특성을 결정하는데 ... ...
A4용지의 변신 2가지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내용이 달라서 생기는 뇌의 혼란을 보여주는 예다. 두눈은 4-6cm 정도 떨어져 있어 같은
물체
를 보더라도 약간 다른 시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두눈은 언제나 서로 다른 정보를 담게 된다. 뇌는 이 두눈의 정보차를 감지해 거리감등을 얻고 이들 정보를 종합해 하나의 시각을 지각한다.이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