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원네트로피란 엔트로피, 즉 ‘모든 물질은 긍정적인 상태에서 부정적인 상태로 간다’는
이론
의 반대 개념이다. 저자는 이 색다른 개념을 공부에 적용해 수험생들의 심리와 두뇌를 최적의 공부 상태로 유지하라고 말한다. 엔트로피 상태에서는 학습의욕과 집중도가 낮기 때문에 빨리 이 상태를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읽고 진로를 수정한 경우다.
이론
물리학자 슈뢰딩거는 ‘파동방정식’을 고안해 양자
이론
을 확립하는 데 큰 공헌을 했지만 ‘생명이란 무엇인가’로 생명과학 발전에도 지대한 기여를 한 셈이다.벤저 교수는 알투(rⅡ) 파지 변이체라고 알려진 박테리오파지(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를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서로 붙어 있는 조각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고 해도 4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이론
이다. 19세기 중반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는 영국의 지도를 색으로 구분해 칠하다가 4가지 색만 있으면 모든 부분을 구별해서 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 어떤 경우에도 4가지 색이면 ... ...
대한수학회상 교육상·논문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 4월 24일 대한수학회는 올해의 대한수학회상 수상자로 교육상 부분에 카이스트 김홍오 교수와 충남대학교 전길웅 교수, 그리고 논문상 부분에 인 ... 논문상을 수상한 송용진 교수는 대수학의 군에 관한 연구를, 엄상일 교수는 그래프
이론
과 관련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습니다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론
을 이용해 쉽게 그릴 수 있고 인터넷망, 전화 통신망, 은행 전산망 등에도 그래프
이론
이 활용되기 때문이에요.오일러 회로나 경로를 따르는 한붓그리기 한붓그리기를 활용하면 길을 잃지도 않을뿐더러 왔던 길을 다시 가지 않아 효율적이다. 하지만 언제나 한붓그리기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마우스는 미로를 스스로 탐색해 길을 찾는 소형 로봇입니다.노버트 위너 박사가 연구한
이론
을 그대로 따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길을 찾아 냅니다. 처음 가는 길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반복해서 길을 가면 길 찾는 속도가 빨라지지요.참, 갑자기 생각났는데요. 컴퓨터 게임에서도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TV 등 모든 기계에 쓰인답니다.마리 엔느몽 카미유 조르당프랑스의 수학자 조르당은 군
이론
에 큰 업적을 남겼다. 집합의 임의의 원소 사이에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어떤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가 다시 이 집합에 속하면 수학에서는 이 집합을 군이라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실에서 입증됐다. 하지만 양-밀스
이론
은 수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
을 수학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바로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4. 내비어-스톡스 방정식내비어-스톡스 방정식은 배의 주위를 흐르는 물이나 비행기의 날개 옆으로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오우택(55) 서울대 약대 교수를 선정했다.수학 부문 수상자인 강 교수는 역학과 합성물
이론
의 응용 분야와 순수수학을 연결하는 학제적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수학계에서 60년간 풀리지 않은 난제인 ‘폴야-세고 예측’과 ‘에슐비 예측’을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물리 부문의 이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재현한 셈이다. 두 중이온이 충돌하는 순간을‘미니빅뱅’이라고 부르는 이유다.빅뱅
이론
에 따르면 초기 우주에 해당하는 2조℃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는 쿼크들이 구속에서 벗어날 뿐 아니라, 자유로운 쿼크-반쿼크 쌍이 매우 많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온도가 내려가면서 자유롭던 쿼크와 반쿼크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