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궤도선 개발 등을 독자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NASA, JAXA 등과 국제 협력을 통해 ISS를 활용한 우주 실험에도 참여하는 등 ISS 이후의 유인 우주탐사 시대를 위한 토대를 닦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주도로 성장한 우주 분야에서 대학과 민간 기관의 참여가 활발해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행히 숭례문은 5년 만에 예전 모습을 거의 되찾았다. 큰 규격의 부재가 상당 부분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남았던 덕분이었다. 그리고 화재 10년 만에 이런 부재들을 차곡차곡 모을 수 있는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가 문을 열었다. 2017년 12월 1일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있는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 ...
- [Issue] 어서와, 경제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항공사 ANA에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라인하르트 교수는 학습곡선에 대한 지식을 활용해 항공기의 미래를 예측했다. 그는 1971년 이후 생산될 트라이스타 비행기 한 대당 생산비용이 150대를 생산한 이후에는 1550만 달러(약 168억 원), 300대를 생산한 이후에는 1200만 달러(약 131억 원)일 것이라고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요한 척도로 여겨지기도 했기에, 행복지수에서 국내총생산(GDP)이 중요한 측정기준으로 활용됐다. 그러나 기본 욕구가 충족된 국가들에서는 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해도 개인의 행복 체감도가 정체되는 현상인 ‘이스털린의 역설’이 등장하면서 행복 측정에 대한 기준들이 다양하게 개발됐다. ... ...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우주에서 날아오는 방사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 많은 양의 입자가 생겨요. 이때 수명이 약 100만 분의 2초로,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뮤온’ ... 이용해 검출기로 지하 구멍의 깊이를 계산해냈다”며, “앞으로 검출기가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어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무사히 연결하면 첫 번째 미션 완료! 두 번째 미션은 코딩펫의 ‘프리코딩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었어요. 이 미션의 지도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꼬불꼬불한 선으로 이어져 있어요. 미로와 같은 선이 중간중간 여러 갈래로 나눠져 있지요. 올바른 길로 가기 위해 선 길목마다 코딩펫이 인식할 수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최동진 박사님, 서울대학교 한무영 교수님은 “샤워 시간을 줄이고 빗물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도 기후변화를 막을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 환경보호를 위한 행동은 어른들만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을 반성했어요. 우리가 함께 살아갈 지구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기자단 친구들도 작은 ... ...
- [과학뉴스] 물고기도 헷갈리는 스파이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최근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실제 물고기가 동료로 착각하는 로봇 물고기를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열대어인 제브라피시를 본 따서 만들어졌지요. 몸 ... “앞으로 동물 행동이나 의사소통 방법 등을 연구하기 위해 스파이 로봇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움직여요. 군집비행은 넓은 지역을 조사하는 것은 물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도 활용될 수 있지요.” 김명건 연구원의 설명이 끝나고, 친구들은 여러 대의 드론이 군집비행을 하는 영상을 봤어요. 여러 대의 드론이 열을맞춰 움직이는 장면을 보고, 친구들은 감탄했답니다. 연구실 탐방을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0으로 만드는 것. ‘탄소 제로’라고도 한다. 또한 각종 센서와 무선 인터넷망을 활용해 사물인터넷 거리를 만들어 에너지 효율을 높였어요. 2015년에는 기존의 수은 가로등을 LED로 교체하며 각종 센서와 와이파이 기기를 함께 달았어요. 그 결과 시민들은 거리 어디에서나 무선 통신을 쓸 수 있게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