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감도
뉴스
"
분리도
"(으)로 총 2,634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인터넷전문은행, KT-카카오 2곳 선정
동아일보
l
2015.11.30
[동아일보] 예비인가… 2016년 상반기 영업 시작 모바일로 예적금 가입-대출 신청 KT가 주도하는 ‘K-뱅크 은행’(가칭)과 카카오가 중심이 된 ‘한국카카오 은행’(가칭)이 인터넷 전문 은행 사업자로 선정됐다. 금융 당국은 지난 주말 진행된 외부평가위원회의 심사 결과를 토대로 29일 오후 임시 금 ... ...
폐암모니아에서 순도 100% 수소 뽑아낸다
2015.11.26
교신저자로 연구에 참여한 이재영 GIST 교수(오른쪽)와 제1저자 곽지은 연구원 - GIST 제공 폐암모니아에서 순도 100%의 청정 수소를 뽑아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비용을 들여 처리해야 하는 폐암모니아를 분해해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데 ... ...
일본 상업위성 첫 발사성공…“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
동아닷컴
l
2015.11.25
[동아닷컴] 일본 상업위성 첫 발사성공 일본 상업위성 첫 발사성공…“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겠다” 일본이 자국산 로켓을 사용해 상업위성을 최초로 발사하는데 성공했다. 미쓰비시 중공업과 우주항공개발기구(JAXA)는 24일 오후 3시50분께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 ...
달팽이 껍질 위에 동그랗고 까만 저건, 진짜 ‘눈’?
2015.11.22
사이언스 제공 조개 껍데기나 돌처럼 단단해 보이는 노란 물체 위에 검은 구슬이 붙어 있다. 구슬 가운데 점은 생선의 눈을 연상케 한다. 이번 주 ‘사이언스’를 장식한 알 수 없는 물체의 정체는 동물의 ‘껍질’이며 껍질에 붙은 눈 역시 놀랍게도 진짜 눈이 맞다. 껍질에 눈을 붙이고 다니 ... ...
2억5000만 년 뒤 모든 대륙, 하나로 모인다
2015.11.20
미국 연구진은 2억5000만 년 뒤에는 지구 상의 모든 대륙이 하나로 모인다는 예측을 내놨다. - 크리스토퍼 스코테스 교수 제공 세계 지도를 보면 남아메리카 대륙의 오른편 해안선과 아프리카 대륙의 왼편 해안선 모양이 이상하리만치 맞아떨어진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호기심에서 시작해 ... ...
줄기세포 배양 효율 8배 높이는 기술 개발
2015.11.13
서울대 제공 국내연구진이 줄기세포 치료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효과를 대폭 높일 수 있는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김병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사진)팀은 줄기세포 배양 효율을 최대 8배 높일 수 있는 다공성 분리막을 만들었다고 13일 밝혔다. 줄기세포는 신체에 존재하는 200개 세포 유 ... ...
560만 년 전 지중해가 ‘소금사막’ 됐던 이유는 ‘남극해 결빙’
2015.11.10
지중해는 560만 년 전 지브롤터 해협이 닫히며 거대한 사막 분지로 변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유럽의 앞바다’인 지중해의 바닷물은 유달리 맛이 짠 걸로 유명하다. 신생대 제3기인 560만 년 전엔 이 바다가 소금기로 가득한 ‘사막’이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오타고대 크리스티안 오나이저 ... ...
비싸고 오래걸리던 암 검진, 10분만에 끝낸다
2015.11.10
암 검진 기술을 개발한 인제대 연구진. 한기호 교수(맨 오른쪽)의 모습이 보인다. - 인제대 제공 혈액 속에 있는 암세포를 10분 만에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암 진단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용 자가 암 진단기기 개발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기 ... ...
지난해 실험실 안전사고 22건은 ‘화학물질’ 때문
2015.11.09
대학 연구실에서는 공기 중 감염 외에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특히 이는 화학물질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학물질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다루는 생물 분야 실험실부터 물리학, 화학공학 등 이공계 대부분 실험실에서 두루 쓰인다. 화학물질의 종류도 에탄올 같은 ... ...
수도권 12개 大 연구원 인터뷰 “건국대 사태, 남 얘기 아니다”
2015.11.09
“대학 실험실에서 한 번이라도 미생물을 다뤄본 연구자라면 이번 건국대 사태가 남의 얘기처럼 느껴지진 않을 겁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을 다루는 연구자는 늘 감염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연세대 석사 졸업생) 동아일보는 실험실 안전 실태를 파악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