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스페셜
"
현지
"(으)로 총 2,393건 검색되었습니다.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밝혔다. 아폴로 8호는 달을 탐사한 최초의 유인우주선이다. 12월 21일 오전 7시51분(
현지
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110.6m 길이의 거대 로켓 ‘새턴V’에 실려 발사됐다. 앤더스 외에도 프랭크 보먼 선장과 제임스 러벨이 승무원으로 함께 했다. 아폴로8호는 달의 궤도를 20시간 10분 1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했던 이 기술이 올해 최고의 연구 성과로 뽑혔다. 사이언스는 지난 11월 28일(
현지
시간)부터 12월 5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올해 발표된 12가지 과학 연구 성과에 대한 순위 투표를 진행했다. 사이언스를 발간하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5일부터 12일까지 일주일간 전 세계 과학기술인 1만2000명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미국 민간 우주개발기업 버진갤럭틱의 우주선 ‘VSS 유니티’가 이달 13일 오전 7시 11분(
현지
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북쪽 모하비 사막에서 82.7㎞ 고도까지 올라갔다. 미 공군과 미항공우주국(NASA)은 약 80.5㎞를 우주 경계로 인정한다. 이에 따라 VSS유니티는 미국의 우주왕복선 프로젝트가 멈춘 201 ...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유전자를 가진 현대인의 두개골이 뒤쪽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연구 결과를 13일(
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오른쪽)과 현대인의 두개골을 비교했다. 네안데르탈인의 뇌가 앞에서 뒤로 더 길쭉하다-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 제공 ... ...
ISS 우주인 8시간 유영…소유스 캡슐 구멍 조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3
소유스 MS-09 캡슐에 생긴 정체불명의 구멍에 대한 외부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8월 30일(
현지
시간) ISS에 도킹할 당시 소유스 MS-09 캡슐에서 미약한 압력 감소 현상이 발생했고, 그 원인으로 지목됐던 구멍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1일 올레그 코노넨코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등 두 명의 러시아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않는 머나먼 우주 공간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0일 (
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지구물리학회에서 보이저2호가 심우주에 진입한 것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보이저2호는 지난 1977년 8월 20일 쌍둥이 탐사선인 보이저 1호보다 일찍 발사됐다. 보이저 ... ...
中 아무도 못 가본 달 뒷면으로 '대장정'… ‘창어 4호’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인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4호’가 8일 오전 3시 23분(
현지
시간 오전 2시 23분) 중국 쓰촨성 시창위성발사센터에서 중국의 우주발사체 ‘창정(롱 마치) 3B’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 중국국가항천국 제공 최초로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착륙을 시도할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실은 채 성공적으로 우주로 날아갔다. - 사진 제공 ESA/CNES/Arianspace 10월 20일 새벽 1시 45분(
현지
시각), 프랑스 기아나 우주기지에서 굉음과 함께 유럽이 자랑하는 민간 발사체 ‘아리안 5’가 하늘로 치솟았다. 유럽우주국(ESA)와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개발한 역대 세 번째 수성 탐사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사람도 많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미국의 유행병학자 레너드 컬랜드는 1953년 괌
현지
에서 리티코-보딕의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1960년대 소철 씨 분말인 파당을 원인으로 지목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한 채 2001년 작고했다. - 메이요클리닉 제공 2006년 ‘사이언스’ 기사에는 박쥐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자주 한다. 그 때마다 ‘아프리카의 과학’ ‘남미의 과학’ 등이 특집기사가 되고
현지
의 과학 정책과 과학자가 등장한다. 다른 나라의 과학 사정에 밝지 않은 구독자에게 “이 나라에도 (나름의) 과학이 있다”고 알려주는 기획이다. 하지만 피상적이거나 의례적인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다.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