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 ‘똥깡통’으로 디날리산의 ‘똥사태’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걸릴 수 있어요. 높은 산에선 눈이 녹아 생긴 물로 식수를 해결하기 때문이지요. 이뿐만 아니라 주변 강과 호수도 세균으로 오염돼요. 실제로 연구팀은 디날리산의 빙하가 녹아 모이는 카힐트나강에서 인간 대변의 세균을 소량 발견하기도 했답니다 ...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가는 이유도 혹시 섬에 살고 있을지 모르는 신종 선충을 찾아보기 위해서지요.이 조그만 선충은 사실 생물학계의 슈퍼스타랍니다. 선충이 생물학자들의 ‘모델 생물’ 중 하나이기 때문이에요. 모델 생물은 생물의 몸에서 유전자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 생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초파리(醋파리, fruit fly) 여름철 과일이나 음식물 쓰레기를 집안에 방치하면 단 몇 시간 만에 작은 파리가 귀신같이 달라붙어요. 시큼한 맛을 내는 산성 물 ... 루시페린은 발광생물마다 종류가 다르며, 반딧불이, 지렁이, 세균 등 발광생물 중 일부만 루시페린의 구조가 밝혀졌답니다 ... ...
-
- 지렁이의 비밀② 특별한 생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두 부류로 나뉜 시기가 하나의 대륙으로 붙어있던 판게아*가 남북으로 쪼개진 1억 8000만년 전쯤과 일치했기 때문이지요. 즉, 땅이 이동하면서 그 땅속에 살고 있던 지렁이도 함께 이동한 거예요. 최훈근 지렁이농업연구소장은 “약 5억 년 전 지렁이 알 화석이 발견되며 그쯤 처음 등장했다는 주장도 ... ...
-
- 전략적으로 땅 따먹는 퍼즐 게임, 블로커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맞 닿아 연결해서 놓아야 하지요. 다른 참가자의 블록과는 변이 닿아도 상관없지만 겹쳐 놓을 순 없어요. 블록을 놓다가 더 이상 놓을 공간이 없게 된 사람은 게임을 멈춰요. 그리고 모든 게임 참가자가 게임을 끝 내면 자신이 놓은 블록의 칸 수를 세면 돼요. 가장 많은 칸을 차지한 사람이 승리하는 ...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강동네트워크’가 선정됐어요.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는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고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시민들과 함께 노력하고 있다”며, “오늘 상을 받은 분들은 모두 서울 시민의 영웅”이라고 말했답니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대원을 모집해요. 4월 발대식을 ...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명확히 판단하지 못한 윤리 문제이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답을 내리기란 어렵지요. 만약 이런 일이 실제로 발생한다면 자율주행차가 적절히 대응했는지 분석하며 사회적으로 합의해 가야 해요. 용어정리*트롤리 문제 : 사람들에게 브레이크가 고장 난 기차 상황을 제시하고 다수를 구하기 위해 ... ...
-
- [가상인터뷰] 쥐사슴, 그동안 어디 있었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그리고 지난 11월 11일, 연구팀은 멸종됐다고 믿었던 쥐사슴을 트랩 카메라로 30년 만에 다시 발견했다고 발표했지. 트랩 카메라에 너희 모습이 담겨있던 거야? 연구팀은 2018년 4월, 3대의 트랩 카메라를 나무에 설치해 쥐사슴 사진 275장을 찍었어. 이후 집중 조사를 위해 7월까지 같은 장소에 카메라 ... ...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5G는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2.5GB 이상의 정보를 1초 만에 받을 정도로 매우 빠르지요. 정보를 주고받을 때 지연속도도 짧아 5G 기술이 완성된다면 통신이 늦어져 발생하는 오류도 줄어들 거예요. 그러면 자율주행차의 안전성도 높아지겠죠. ▲ PDF에서 고화질로 ... ...
-
- [과학뉴스] 오존 구멍 34년 만에 최소!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16℃ 더 높았어요. 이처럼 남극 성층권의 기온이 높아지면 6~9월 사이 성층권 구름이 적게 만들어져요. 그 결과 오존도 덜 파괴된답니다. NASA 수잔 스트라한 연구원은 “1988년과 2002년 9월에도 비슷한 현상이 관측됐다”며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 중”이라고 설명했어요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