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피부가 시원해지기 때문에 콜드(cold)크림이라 불렸다. 이 크림은 현재도 사용된다.하지만
일부
재료는 안전상의 이유로 금지됐다. 대표적인 것이 많은 유럽 여성들을 죽음으로까지 몰고 간 납 가루분과 수은으로 만든 승홍이다. 승홍은 피부 외피를 벗겨내 주근깨, 여드름, 기미, 뾰루지 같은 잡티를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해할 수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도 생명현상 전체를 보려는 노력의
일부
다. 전체 단백질을 정리하면 단백질끼리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자연히 왜 병에 걸리는지 원인과 치료법을 찾을 수도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은 앞으로 또 어떤 생명의 비밀을 인류에게 알려주게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던 수증기는 관측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의 극히
일부
만 설명할 수 있었다. 대신 우주 방사선의 이온화 효과가 에어로졸 형성을 크게 촉진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수km 상공에서는 황산과 물의 증기가 빠른 속도로 결합하며, 그 속도가 대기 최하층부에 비해 1 ... ...
영화 순식간에 내려받는 황금 주파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현재의 서비스가 4G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지만 아직은 진정한 4G 서비스에 미치지 못해
일부
전문가들은 이 기술들을 3.9G 라고 부르기도 한다. 진짜 4G인 LTE와 와이브로의 차세대 버전(LTE-advanced와 ‘IEEE 802.16m Mobile WiMax)이 상용화되면 지금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로 이동통신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상대방에게 날개달린 침을 찌른다’고 썼다.” 여기서 침은 비유가 아니라 정말 달팽이
일부
종이 쏘는 탄산칼슘 구조물이다. 하지만 그 모습을 보고 신화를 떠올리는 것은 분명 문학적 상상력이다.이 책의 원제목은 ‘야생 달팽이의 식사 소리’다. 병으로 몸을 못 움직이는 저자에게 달팽이가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돌아가야 지혈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 그런데 혈우병 환자는 유전적 결함으로 단백질
일부
가 몸안에 존재하지 않는다. 톱니바퀴 한두 개의 부재로 멈춰버린 지혈 시계가 혈우병의 본모습이다.부모를 모두 병원에서 떠나보낸 동현에게 병원은 치료를 향한 돌파구가 아닌 생의 마지막 종착역이다.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숫자나 식을 변형하는 등 직접적으로 연계 출제하는 문항의 수는 줄고 상황이나 조건을
일부
변형하는 등 간접적으로 연계해 출제하는 문항의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문제가 어떻게 변형해 출제될지 생각하며 공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은 ‘거의’ 안다고 해서 점수로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 아래쪽은 아래턱(mandible)이 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세 번째 새궁은 두개골과 아래턱의
일부
로 변했다. [무악어류의 현생종인 칠성장어(➋)와 입(➊)의 모습.][무악어류에서 유악어류로 진화하는 중간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추정되는 슈유 제지안겐시스의 상상도(위). 이 어류의 두개골에는 한 쌍의 ... ...
유전자 정보는 과연 특허 대상일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르는 사이에 내 유전자
일부
가 누군가의 재산이 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결과입니다.”“유전자를 밖으로 꺼내면 세포 속에 있을 때와 달리 화학적 성질이 전혀 달라지므로 이렇게 분리, 정제한 유전자는 ‘발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발명품은 당연히 특허의 대상입니다. 유전자에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뒤가 성현일 박사다.][➋ 돔 위에서 내려다본 망원경의 모습. 가운데 지름 1.8m의 주경이
일부
보인다. 오른쪽 사람을 보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반사망원경 작동원리-우주에서 들어오는 빛은 주경(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의 경우 지름이 1.8m)에서 반사돼 부경으로 향한다. 부경에서 다시 한 번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