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면을 쓰는 비용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미국 UC버클리의 심리학자 크리처는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생활과 연애생활 등에 대해 사적인 질문을 하며 약 10분간 인터뷰에 참가하도록 했다. 그리고 일부 학생에게 인터뷰 도중 자신의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을 숨기도록 요구했다. 인터뷰가 끝난 뒤에는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최고, 인자함도 최고! 사랑으로 아랫 동물을 돌보는 코끼리의 수장이에요.
학교
의 곳곳에 있는 정수기와 매점의 먹을거리 정보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특기랍니다. 반 친구들의 얼굴도 제가 가장 먼저 외웠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 주세요.공약➊ 모두 사이좋게 지내는 반을 만들겠습니다.➋ 남학생들이 ... ...
지구가 점점 더워진다! 2099년 온난화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게다가 최근 오존층을 파괴하는 새로운 온실가스가 발견됐어요.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학교
요하네스 라우베 박사 연구팀은 그린랜드의 얼음층과 호주 태즈매니아 지역의 공기를 채취하고 분석해 새로운 온실가스를 4종이나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 가스들이 전자부품을 청소하는 용제나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6학년 학생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점과 선으로 연결된 아래 그래프는 인천지역의 한 초등
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이루고 있는 친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파란색은 남자, 분홍색은 여자로 아무런 교류 없이 같은 성별끼리만 친하게 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원이 크게 그려진 학생들은 많은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분야에 쓰인다 여러분도
학교
에 다닐 때 한 번쯤은 동물 실험을 해봤을 겁니다. 초등
학교
때 올챙이를 개구리로 기르는 것(대부분 올챙이들은 뒷다리가 날 때까지는 잘 자라다가 그 이후에 관리 부주의로 죽지요)에서 시작해, 과학동아리에서 냉동 금붕어를 해부하는 것도 동물실험입니다. ... ...
블록과 롤링볼의 결합! 큐볼루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S극에 상관없이 붙일 수 있는 설계로 특허를 받았다.깔끔한 디자인과 예쁜 색상으로 초등
학교
입학 전의 아동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완성한 다음 보관하기 까다로운 기존 롤링볼 제품에 비해 완성한 다음 언제든지 부수고 다시 조립할 수 있다. 블록을 조립하는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있다”며 “UNIST는 역사는 오래되지 않은 ‘아이’
학교
지만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멋진
학교
”라고 말한다. 19명의 석학이 이끄는 UNIST 화학 트랙의 이야기는 이제 막 시작하고 있다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빗물을 모아 도시에 도움을 주는 빗물관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답니다. 현재
학교
내에서도 ‘빗물연구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이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빗물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을 겁니다.Q 빗물 활용 기술은 어디에 응용할 수 있나요?A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모든 것은 목적이 있어야 한다영국의 시골 마을에서 태어난 그는 런던왕립예술
학교
를 졸업했다. 그곳에서 보낸 시간이 지금의 자신을 만들었다고 회고했다. 특히 ‘기능적’인 디자인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입학할 때는 디자인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던 제가 졸업할 때는 보트부터 영화관에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제가 천문학자의 길을 정말 잘 선택했구나 했던 게 언제인 줄 아세요? 대
학교
1학년 때
학교
에 있는 망원경으로 서울 한복판에서 토성 고리를 봤을 때예요. 얼마나 신비하고 가슴이 뛰던지…. 별은 단 10개를 봐도 좋은 경험을 했다면 충분한 거예요.”미국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이석영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