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도"(으)로 총 2,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2014.12.01
- 집었는데 이를 지켜보던 원숭이의 뇌에서 동일한 뉴런이 활동했던 것. 직접 동작을 하지도 않고 지켜보기만 했는데도 뇌는 비슷한 반응패턴을 보였다. 그런데 이상한 현상을 또 발견했다. 손 대신 집게로 땅콩을 집을 때는 뉴런이 반응하지 않았던 것. 결국 이 뉴런은 스스로 행동하거나 자신과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으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과학동아 l2014.11.25
- 팀을 이뤄 PC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 ...
- "온가족이 생태탐사 전문가가 됐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11.25
- “가족과 함께한 탐사 과정에서 금개구리, 맹꽁이, 두꺼비 등 다른 멸종위기종의 서식지도 확인해서 뿌듯했다”고 발표했다. 온 가족이 함께 1여 년간 꾸준히 꿀벌 탐사를 진행해 우수탐사대원으로 뽑힌 학부모 조수정씨는 “탐사 하나를 마칠 때마다 꽃 이름을 찾기 위해 온갖 자료를 뒤졌다”며, ...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2014.11.21
- 성제경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장은 특정 유전자에 이상이 있는 유전자변형쥐(GEM)에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온도, 습도, 소음 등이 일정하 ... 기대가 크다. 한국 친구들이 새로 가입했으니 조만간 ‘IMPC 비정상회담’을 한 번 열어야 할지도 모르겠다. ... ...
- 숙주나물 되는 녹두의 유전체 지도 첫 완성2014.11.19
- 염기서열을 처음으로 분석해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녹두의 유전자 지도를 최초로 완성했다. 숙주나물로 자라는 녹두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동남아 국가에서 많이 먹는 채소이라는 점에서 우량 신품종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석하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식물생산과학부 ... ...
- [청년드림/인터뷰]3D 프린터 전문업체 후나인쓰리디피 이정훈 대표동아일보 l2014.11.19
- 지역에는 3D 프린터 기반이 약해 관련 프로그램과 전문 디자인, 조형물 표면 가공을 지도하는 학원조차 없었다. 인력이 부족했지만 기술개발이 이 사업의 핵심이기 때문에 1명을 서울 유명 학원에 연수를 보냈다. 이 대표는 “창업 초기에 쉽지 않은 결정이었지만 평범한 조형물 제작을 뛰어넘어 3D ... ...
- KAIST생이 개발한 3D 프린터, 大인기2014.11.18
- KAIST 학부생들이 개발한 3D 프린터가 제품 출시 전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 KAIST 제공 KAIST 학부생들이 개발한 3차원(3D) 프린터가 제품이 출 ... 3D 프린터를 개발한 KAIST 서석현(왼쪽부터), 조성현, 박세호 기술경영학과 연구교수(지도교수), 최종훈, 김원회 씨. - KAIST 제공 ... ...
- 이런 스마트한 밀대 보셨나요?2014.11.12
- 완성도가 높다는 점에서 다른 참가자와 심사위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대회 출전을 지도한 남택진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는 “세계적인 대학과의 경쟁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KAIST의 교육과 연구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ACM UIST는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 분야에서 ...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2014.11.11
- 빠진 생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열영상지도. 정상생쥐(왼쪽)는 물 위에 떠 있는 검은 동그라미(섬)을 잘 찾았지만, 누난증후군 유전자를 지닌 돌연변이 생쥐는 엉뚱한 위치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 중앙대 제공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희귀난치성 질환에 걸리면 나타나는 학습장애를 치료할 ... ...
-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 내 놓았다. 대학원 시절 실험실에서 얽었던 그의 첫 번째 저서 ‘한 눈에 쏙! 생물지도’ 에 이은 또 다른 책이다. 책의 출간 배경에 대해 김 교수는 ‘철학자와 우연한 만남’을 꼽았다. 교양과목에서 철학 강사를 만났는데, 그가 김 교수에게 자신의 저서를 건넸다는 것이다. 이때 인연을 계기로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