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스페셜
"
기존
"(으)로 총 2,86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팰컨 헤비' 두번째 상업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 발사대에서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팰컨 헤비는
기존
팰컨9보다 추력이 10% 강한 로켓인 ‘블록5’ 3기를 묶어 1단 엔진으로 사용하는 로켓이다. 높이는 70m, 폭은 12.2m다. 보잉 747 비행기 18기가 내는 힘과 비슷한 2300톤의 추진력을 갖는다. 64톤 무게의 탑재체를 실을 수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적용해 착용자가 의도하려는 동작을 미리 파악해서 제안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했다.
기존
로봇은 모든 동작 기능을 착용자가 임의대로 선택해야 했다. 착용자의 패턴을 학습해 상황에 맞는 동작을 알아서 제안해주는 방식으로 진화시켰다. 공 교수는 “현재 내년 대회에 출전한 워크온슈트 ... ...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게다가 최근 미국에서 대변이식술로 인한 사망자가 나와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기존
보다 더 엄격한 기준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앞으로 좋은 대변을 구하기가 더욱 까다로워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좋은 대변 샘플을 찾기 위해 전문가들은 흡연이나 음주 등 생활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등 민간 기업 중심의 접근이 우주산업을 훨씬 큰 잠재력이 있는 분야로 만들고 있다.
기존
우주선진국과는 다른 접근전략으로 우주 개발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는 국가들도 두각을 나타낸다. 아랍에미리트(UAE)나 이스라엘, 룩셈부르크 등이 대표적이다. 우주개발에서는 비교적 변방이었던 이들 ... ...
환경부 "인천 수돗물 사태원인은 무리한 관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부착되어 있던 물때가 탈락됐다는 것이다. 수계전환 원상복구로 다시
기존
방향으로 물이 공급되며 이물질이 함께 영종지역까지 붉은 수돗물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했다. 환경부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정부원인조사반의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정부원인조사반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시니호가 마지막으로 보내온 토성 고리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관측했다. 매튜 티스카레노 미국 세티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존
에 자세히 이해하기 어려웠던 미세한 구조와 표면 특성이 드러났다. 우선 토성의 고리에 토성 주변을 휘감고 돌고 있는 물질들이 영향을 주고 있는 모습이 확인됐다. 토성에는 대표적으로 A,B,C라는 고리 ... ...
AI·빅데이터 써서 신약개발 기간 절반으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재창출은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이
기존
의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서울 아산병원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 ...
국내 최초 새 녹내장 수술 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안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또 염증이나 출혈 같은 심각한 합병증도 보이지 않았다.
기존
에는 결막을 훨씬 크게 절개해야 하다보니 수술시간이 길고 결막이 섬유화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반면 결막하 녹내장 스텐트 삽입술은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 수술시간이 5~10분 정도로 매우 짧고 수술 시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융합한 스마트 의료로봇도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봇이 스스로 학습한다면
기존
보다 훨씬 정밀하고 안전하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2020년 발사 계획인 달 궤도선과의 통신을 위해 자체적으로 DTN 기술을 연구 중이다. NASA는
기존
의 전파통신 대신 레이저를 이용한 통신으로 인터넷 용량과 속도를 10∼100배 늘리는 차세대 우주 인터넷 역시 연구하고 있다 ... ...
이전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