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378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서운 실내공기오염
과학동아
l
198612
그러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간접흡연자는 유해성분이 많은 불완전연소된 연기를 필터를
통과
함도 없이 마시게 되므로 실제로는 담배를 직접 피우는 사람보다 더욱 나쁜 연기를많이 마시게 된다.(표2)는 직접흡연과 간접흡연의 연기중 성분을 비교한 것으로서 11종류의 성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11
위치한다. D전극에 고주파 교류를 걸어주면 이온원에서 출발한 이온은 전극사이를
통과
할 때마다 에너지를 얻게되고, 자극사이에 자장이 일정하다면 이온의 회전반경은 에너지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이온은 나선형을 그리면서 운동하여 전자석 외부에 도달, 방출된다. 이때 위상정합 관계는 ... ...
천문학자 칼 세이건 최고의 인기, 돈, 명예…
과학동아
l
198610
발사할때였다. '파이오니어'계획은 목성에 접근하여 근접사진을 찍고 명왕성을 1987년에
통과
하면서 그행성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게한 것이었다. 그리고는 태양계를 이탈하여 영원히 무한한 우주공간을 나르게 되는것. 여기서 '세이건'은 이 우주 어느곳에 우리 인간과 같은 지적(知的)생물이 살고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610
일어난다. 그러면 시냅스가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켜 스위치가 끊어지는 형태가 되고 전류
통과
가 어려워진다. 이 '틀린 신호'란 도대체 무엇인가? 가령 운동연습을 하다보면 처음에는 대개 실패한다. 따라서 틀렸을 때 그 신호가 소뇌로 보내지면 시냅스의 스위치가 끊어진다. 소뇌의 시냅스는 ... ...
해양정보시스템 태풍 피해의 최소화
과학동아
l
198610
연결하여 결과를 읽어야 한다. (그림4)는 작년에 남동해안에 영향을 준 태풍 브렌다(Brenda)
통과
시 HYPA 모델로서 파랑을 계산한 예이다. □지진 해일 도달시간 예보 진원지로부터 발생한 쯔나미가 전파되어 나가는 속도는 수심에 따른 장파의 진행속도와 굴절 등을 계산하여 비교적 정확히 구할 수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10
은어가 나온다는 사실도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어린 은어가 바다에서 올라와 서울을
통과
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행(李荇)등 30여명이 1530년에 편찬했다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増東國輿地勝覽)과 서명응(徐命應)이 1710∼1787년 사이에펴냈다고 전해지는 '고사신서'(故事新書) 등에도 광주에서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
과학동아
l
198610
출발하는 운동출력은 피질하 운동영역과 소뇌에 의해 좀더 조절되어 척수를
통과
하여 적절하게 근육에서 끝난다. 이와 같이 간단한 단순행동이라도 뇌의 많은 영역에서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뇌의 발달은 유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고려된다. 출생시 나타나고 있는 기본형태의 뇌구조는 ... ...
시력이상과 교정의 요령 굴절이상은 정확한 안경처방이 필수적
과학동아
l
198609
있다. 먼저 정상인인 정시(正視)라 함은 평행광선 즉 먼 물체의 상(像)이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
하면서 굴절하여 망막에 초점을 맺는 경우를 말한다(그림1). 근시에서는 망막까지 도달치 못하고 그 앞에 초점을 맺게 되며 원시에서는 뒤쪽에 초점을 맺게 된다. 난시란 눈의 축에 따라 굴절정도가 서로 ... ...
생산과 소비의 갈등을 해소한다
과학동아
l
198609
나타난 자신의 패션을 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마음에 드는 모습이 나타날 때까지 '
통과
' 버튼을 누르고, 마음에 드는 패션이면 '오더' 버튼을 누른다. 이때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된 로보트가 재단을 하고 재봉질을 한다. 고객이 차 한잔 마시는 동안 옷이 마무리 작업을 거쳐 완성된다. 이러한 류의 ... ...
물속 물질의 원자구조 최초로 사진 찍어
과학동아
l
198609
캘리포니아대학의 물리학교수 '리차드 소넨펠드'와 '폴 핸즈마'는 처음으로 물속을
통과
하는 원자의 구조를 포착하는데 성공한것. 두사람은 움직이는 바늘을 물체의 표면에 놓았을때 적은 전류가 발생한다는 것에 착안, 터널 주사형 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은 것이다. 바늘이 흑연을 건드리지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