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문제를 만들어 유명해진 수학자가 있어.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야. 1202
년
에 쓴 에서 1쌍의 토끼가 1
년
뒤에 몇 마리가 될지 계산하는 문제를 소개했어. 어떤 문제인지 알아볼까?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이탈리아의 상업 중심지인 피사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를 ... ...
[화보] 파노라마 사진전 │ 이 눈에 세상을 담는다면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사진에 도전하고 있다. 전 세계 5000여 개 작품이 모인 ‘엡손 국제 파노 어워드’의 2021
년
수상작 일부를 소개한다. 산을 꿈꾸는 사람맥스 라이브 I 스위스오픈 자연/풍경 부문알프스의 압도적인 설산과 빙하 위로 떠 오른 태양. 이 풍광 속에 단 한 사람이 서있다. 그가 마주한 대자연의 현장을 ... ...
[이달의 기후위기] 들쭉날쭉한 강릉 해변 동해안 모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씨는 “한쪽에서 모래가 사라지면 다른 쪽에 축구장처럼 넓게 모래가 쌓이는 일이 매
년
반복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찾아간 강릉 안목해변부터 영진해변까지 15km의 모래사장은 들쭉날쭉한 해안선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영진해변에서는 남쪽에서는 모래가 깎여 나가고 북쪽에서는 모래사장이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살아있는 로봇, 스스로 번식까지 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의 배아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분화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노봇(Xenobot)을 2020
년
개발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7일에는 제노봇이 자가복제를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112672118 다음은 연구성과를 재구성한 가상 인터뷰다. 제노봇은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선정했으며, 올해 미국 우주기업 아스트로보틱과 인튜이티브 머신스를 시작으로 매
년
달 탐사선을 발사할 예정이다.' 달에 착륙하는 최초의 고에너지 입자 관측 장비지난해 11월에는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과 선종호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 중인 달 관측 장비가 2024
년
달로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우주 분야에서 더 적극적인 민관군산학연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미국의 행보는 2019
년
부터 급격히 심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우주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미국이 과거 냉전 시대 소련을 대상으로 했던 우주경쟁이 21세기에는 중국으로 대상이 바뀌어 재현될 것임을 ... ...
[작심삼일의 심리학] 우리는 왜 작심삼일을 반복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도파민의 여왕 매
년
목표를 세우고, 또 실패하고. 우리는 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2022
년
엔 꼭 목표를 이루기 위해 대책회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세계 각지의 심리학 전문가들을 모아놓고 과학동아가 카톡 회의를 열었습니다. 목표 달성에 대한 팁이 쏟아져 나온 톡방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지면에 내려앉았다.장만이 물었다.“가려고?”“가야지. V결함 때문에 두려워하면서 1000
년
째 돌아다니는 빌드가 많이 남았어. 걔들을 구해줘야 의사라는 별명에 어울리지 않겠어? 넌 어떡할 거야?”장만은 대답을 잠시 미루고 마을을 바라봤다. 1000명이 넘는 다온인 가운데 적어도 한 명은 절벽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비교해 1.5℃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걸 목표로 합니다. 이런 목표를 이루기에 2030
년
까지 온실기체 감축 계획이 충분한지 세계 각국의 2030 NDC를 검토하기로 한 거지요. 과연, 정상들은 숙제를 잘 해왔을까요? ●산업화 : 생산 활동의 분업화와 기계화가 이뤄지는 현상. 18~19세기 산업혁명 때 ... ...
[기획] 강원도 대관령 날씨조작 현장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강수 데이터를 컴퓨터 모의와 비교해 이틀 뒤 1차 확인해요. 이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1
년
뒤 결과를 보고한답니다. ●염화칼슘: 물을 빨아들이는 응결핵 입자. 0℃ 이상의 구름에서 빗방울을 키울 때 사용한다. 하늘에서 내리는 인공 눈, 어떻게 만들까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