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사일
상례
d라이브러리
"
보통일
"(으)로 총 4,32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태권V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악당들과 싸운다. 필살기인 이단옆차기는 악당에게 치명타를 입힌다. 56m의 큰 키에 몸무게 1400톤이나 되는 거대로봇이 어떻게 이단옆차기를 할 수 있을까. 해답을 구하기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싸우는 장소가 ‘지구’라는 것이다.지구에 있는 모든 물체는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특수 종이와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된 최신의 디지털 펜은 손으로 쓴 데이터를 현장에서 기록하고 e메일을 보낼 수 있는 컴퓨터용 데이터로 바꿔준다. 이것은 용지작성에서 단조로움을 없애면서 공문서의 ‘발자취’를 보장한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내는 지표(指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난자와 정자, 배아, 줄기세포…. 최근 아주 많이 들어 본 말일 거예요.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말들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아요. 난자와 정자, 배아, 줄기세포가 자라서 우리가 만들어졌는데도 말이죠. 처음에 우리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두 개의 세포였어요. 엄마에 ... ...
혜성도, 소행성도 아니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서 혜성처럼 얼음으로 둘러싸인 천체가 발견됐다.소행성은 목성 안쪽에서 태양을 공전하는 암석 덩어리인 반면, 보통 혜성은 태양계 외곽에서 찌그러진 타원궤도를 도는 얼음 천체다.미국 하와이대 천문학과 헨리 하이 교수팀은 소행성대에서 혜성 같은 얼음 천체 ... ...
태권V 광자력 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로보트 태권V는 태권도를 이용한 육박전이 어려운 상황에서 로켓주먹이나 손등 미사일을 날리지 않는다면 눈이나 입에서 레이저빔을 발사해 적을 파괴한다.또 가슴에서 광자력 빔을 뿜어 적의 본거지를 공격하기도 한다. 광자력 빔은 가상의 빔이지만 매질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레이저빔의 일종이 ... ...
고성에서 날아온 '백악기 공원' 초대장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대전과 통영을 잇는 고속도로의 마지막 휴게소 이름은 ‘고성 공룡나라’. 실제로 경남 고성은 휴게소의 이름처럼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나라였다. 2000년 공룡발자국 조사결과 총 48개의 공룡발자국 산지에 5000개가 넘는 발자국이 발견됐다. 하이면 덕명리 해안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은 땅을 ‘떡 ... ...
에이즈 예방 치료약 개발중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연구자들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감염을 피할 수 있는 알약의 개발이 가까워졌다고 확신하고 있다. 복합신약은 이미 HIV 감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돼 왔으나, FTC와 테노포비르를 혼합한 물질이 최근 원숭이 연구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미국과 ... ...
월드컵 8강서 브라질과 승부차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지난 3월 ‘야구월드컵’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한국이 4강에 올랐다. 우리 국민이면 누구나 올해 6월 독일에서 열리는 월드컵에서도 2002년 한일월드컵 4강 신화에 이어 또 다시 세계 4강에 들었으면 하는 기대를 할 것이다.이번 독일월드컵에서 한국팀 성적을 예측해보자. 지난 3월 초 한국갤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지구가 물의 행성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지구는 71%가 바다로 덮여 있지요. 바다는 이렇게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직 우리가 모르고 있는 비밀들을 가득 품고 있답니다. 이런 비밀을 풀어 줄 수중로봇들이 우리나라에서 속속 개발되고 있어요. 바닷속을 누비며 비밀을 밝혀 줄 우리 수 ... ...
활동적인 엄마 똑똑한 아이 낳을까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임신기간 중 열심히 운동한 산모가 똑똑한 아이를 낳을 수 있다. 적어도 쥐의 경우는 그렇다.독일 막스델브뤼크센터의 겔드 켐퍼만 박사는 지난 6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활동적인 쥐의 새끼는 학습과 기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해마부분의 뇌 세포가 보통 쥐보다 40% 이상 더 많다고 밝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