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d라이브러리
"
불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연구소에서 일하는 과학자들의 삶의 현장과 연구체제의 문제점을 알아본다. 명문대학 화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해 한 정부출연연구소에 근무하고 있는 L씨는 ... 연구원들을 태운 통근버스가 썰물처럼 빠져나간 연구소 건물의 여기저기엔 과학한국의 내일을 밝히는
불
이 켜지기 시작한다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나온 아낙네들의 좌판같은 데 나오기 때문에 신경을 써서 찾아야 한다. 말린 쑥은 물에
불
리면 파란색이 되살아나고 이것으로 쑥떡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 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꼭 쓸 일이 있으면 미리 시골에 부탁하여 연한 쑥을 뜯어서 그냥 말리거나 살짝 열을 쏘여 쓰는 것이 ... ...
보다안전하고 공해없는 천연가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대금을 지
불
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LNG운반선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료를 지
불
해야 한다. 아뭏든 LNG는 기존의 다른 화석연료에 비해 환경오염의 우려가 거의 없고 안정적 공급이 가능하다는 등 잇점이 있다. 그러나 저장탱크와 배관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될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대상으로 발명품에 대한 작문과 만화를 모집, 어린 학생들의 발명활동에 활력을
불
어넣고 있다. 열기 그득한 발명교실아마추어 발명가들에게 가장 환영받고 있는 것은 매달 둘째주 토요일 1시에 특허청 연수실에서 열리는 발명교실. 올 4월로 38회째를 마친 발명교실은 매번 2~3명의 성공한 발명가를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바다는 오염되어 다른 세포인 동식물들은 가속도적으로 쇠약해져 간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인간은 문명을 무기로 자신들이 ‘특별한 세포’라는 것만 믿고 끝없는 욕망의 충족을 향해 역사를 이끌어 간다. 사이버네이션의 두쪽 날이선 칼그러나 이제 차츰 진지하게 이 위험한 상황을 타개하여 나갈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원소도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때문에 코끼리들은 굳이 어둡고 위험요소가 많은
불
길한 동굴을 찾아가는 것이다. 뿔이 망가지지만 동굴의 바위 벽명에는 뿔이 갉은 상처가 수없이 많다. 코끼리들이 여러 대에 걸쳐 갉아 추상화같은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코끼리의 뿔은 위쪽 대문이가 현저하게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예컨대 라이터를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있다고 하면, 라이터라는 결과만 중요시하지 왜
불
이 켜지지를 알아내는 건 평가하지 않는다. 이런 분위기에서 더 좋은 라이터는 못 만든다. 연구개발의 기반도 쌓이지 않고 연구원들은 원리고 뭐고 제품 개발에만 몰두하다가 머리가 굳어버린다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수도 있다. 핵무기의 개발은 지구를 일촉즉발의 위기 속에 몰아넣었다. '핵겨울'이라
불
리는 시나리오는 핵폭발의 연기가 전 지구를 덮어 태양을 가리고 결국 추위와 기근이 온세계를 휩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우리는 우리 지구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새로운 지식을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지구를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횡격막의 활동이 보다 쉬어질것도 예상할 수 있다.이상의 것은 물론 예측에
불
과하다. '
불
과' 4만5천년 전에 있었던 현생인류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형편에 수 백만년 후에 나타날 진화의 모습을 예측하는 것은 무리일 지 모른다. 게다가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말에 이르러서는 대형 수송기나 여객기에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리고 1970년 중엽 영
불
합동의 콩고드 기와 소련의 Tu-144 초음속 수송기가 항로에 올랐다.20세기 중엽부터의 항공기 개발의 또 하나의 방향은 단거리 및 수직 이착륙기(STOL, VTOL)였다. 이런 종류의 항공기는 군사용 및 민간용으로 195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