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항공기 생산기술이 어느정도 와있을까,
외국
에서 떠드는 것처럼 선지국에 위협적인 수준에 와 있는 것일까.국제시장에 진출한 항공기산업'일본의 대기업 이시카와지마하리마 중공업은 미군 대잠수함초계기 P3C 엔진수리 업무 교섭에서 한구업체에 패했다. 이에 앞서 미츠비시 중공업도 대형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대학중에 한군데도 정식으로 가르치는 곳이 없다. 몇몇 안되는 교통전문가들도 모두
외국
에서 학위를 따온 인사들이다.또한 교통행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간단히 살펴보면 치안본부가 30% 건설부가 30% 내무부가 20% 교통부가 20% 정도로 관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사이에 분명 ... ...
한·일 자동번역기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처음으로 영어를 일본어로 자동번역하는 소프트웨어를 선보인 바 있다.컴퓨터의
외국
어번역수준은 사람이 번역해 놓은 것에 비교할 수는 없다. 사람이 조금 손을보면 85%정도의 정확도를 가질수 있다는 것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5년 드디어 정든 고국을 떠나 독일로의 유학의 길을 떠났읍니다. 그것이 이후 50년에 걸친
외국
생활의 시발점이 되리라고는 짐작도 못했읍니다."-지난 79년 귀국을 결심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읍니까?"그때가 내나이 65세 되던 해인데 그 동안 근무해 오던 미국 카톨릭 대학을 정년 퇴임했읍니다.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정보)을 할 수 있다면 독서를 많이 할 소지가 있다. 한문이든 한글이든 또는 필요하다면
외국
어단어를 섞어가면서도 저자의 자유분방한 내심의 뜻이 확실하게 나타나야 하는 것이다.글을 쓰면서 조심하다 보니 확실치 않는 (고엔트로피) 구석을 남기는 경우가 허다하다. 습성이 그렇다보니 통신시설 ... ...
퍼스널컴퓨터의 어제와 오늘 오락에서 인공지능까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현재 컴퓨터소프트웨어 산업계에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는 강력한 프로그램 언어이다.
외국
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사, 디지탈리서치사 등 소프트웨어의 주도적인 기업들이 이들의 주요개발 프로젝트에서 C를 사용하고 있고 이웃 일본에서도 프로젝트의 언어로 C를 선정하고 있는 것을 ... ...
체르노빌 사고와 핵공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체르노빌'사고는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현대과학의 판단이, 그리고 관리능력이 얼마나 위험스럽게 불충분한지를 비극으로 실증했다. 본 연구는
외국
의 논문, 보고서와 신문잡지, 그리고 이름을 밝히기를 꺼려한(체르노빌사고기사 제외) 국내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해 정리한 것이다. ...
백화점에도 자동화의 물결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보다 신중히 검토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국내 유통산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선진
외국
의 현황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우리 유통 업계가 안고 있는 유통 근대화의 과제를 분석해 보았다. 유통 근대화의 정책대열에서 낙오되지 않고 SA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매장관리자뿐만 아니라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생태계의 조성이나 순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소는
외국
의 과학자에게 개방되어 있어 연구계획서를 제출하고 현지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고 한다. 스웨덴의 사민당 정부는 국민의 민감한 여론을 의식해 원자력 발전에 매우 조심스럽다. 원자력 발전소가 숙명적으로 안고 ... ...
'科學朝鮮' 영인본 발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한국
외국
어대 사학연구소가 '科學朝鮮' 영인본을 엮어냈다. '科學朝鮮'은 1933년 6월 발명학회가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 종합과학지로서 최장수를 누리기도 한 잡지. 원로 과학저널리스트이자 탁월한 발명가였던 심승택(沈昇澤)옹의 7순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 이 영인본에는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