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이름에서 M과 그 목록의 번호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리보핵산(RNA)의 일종으로서
유전자
DNA 사슬 중 한쪽 사슬의 염기배열을 RNA 사슬로 전사한 구조를 가진 것 mRNA라고 약칭한다DNA의 형질 발현에 있어서 유전정보는 DNA→RNA→단백질로 전달되어 단백질 속의 아미노산 배열이 결정된다이 과정에서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11년이나 토양에 노출돼 있었으므로,
유전자
감식에 필요한 뼈속 DNA가 크게 변형돼
유전자
감식 방법으로 신원을 밝히지 못할 수도 있다.그래도 두개골의 형체를 복원해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영상이나 물체를 이중으로 겹치게 하는 사진기술인 슈퍼임포즈법(superimpose method)으로 신원을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발굴한 특이한 SNP는 ‘한국인 SNP데이터베이스’에 모아지는데, 이 정보는 질병
유전자
발굴 등 관련 연구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인프라가 될 전망이다. 또한 유전체연구소는 현재 10만명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일배체형 분석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배체형·SNP에 대한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유전자
라 한다. 인간의 경우 약 3만-4만개의
유전자
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자
의 알파벳을 모두 읽어내면,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최근 성공적으로 끝난 인간게놈 프로젝트는 인간의 DNA를 모두 읽어내고자 한 것이었다.그런데 문제는 단백질이 어떤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물질로 길을 만들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
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분비한다면 상처 난 피부 부위를 따라가면서 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레플리케이터라는 구조부분 및 이니시에이터(initiator)라는 세포질성 물질을 생성하는
유전자
를 생각할 수 있다 레헤르선의 길이를 바꾸어 가면서 입력고주파에 공진하는 점을 구해 그 파장을 알아내는 장치은하의 형태 분류상 타원은하와 나선은하의 중간형 SO은하라고도 한다 나선은하와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말한다가장 중요한 것은 주요 조직적 합성 항원
유전자
복합체(MHC) 내에 존재하는 Ir
유전자
이다 면역응답에 관여하는 세포의 총칭 항원(抗原)의 특이성에 대응하는 이른바 특이적 면역을 분담하는 것은 림프구지만, 비특이적 면역은 주로 대식세포와 천연살세포(天然殺細胞, natural killer)의 ... ...
1. '노벨상 후보감' 쇤 박사의 논문 날조 충격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변형시켜 자신이 원하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면역 시스템에서
유전자
가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중요한 논문이었고, 1986년 세계적 학술지인 셀에 게재됐다.하지만 문제는 오툴르가 그들의 연구업적을 뒤집을 수 있는 화학약품을 발견하면서부터였다. 그녀가 발견한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세포는 전체의 다른 건강한 세포를 위해 스스로 죽음을 택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자살
유전자
는 항상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목적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돼 있다.최근에 와서 인체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질병은 세포사멸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질병을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대한 황 교수의 사랑은 요즘에는 불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향해 있다.그는 한달 전
유전자
변형 복제돼지가 태어났을 때 기자에게 “장기이식용 복제돼지가 7-10년 정도면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예상도 다른 과학자들보다 조금 빠른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 만났을 때에는 “더 빨리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