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충격 그만 받고 생각을 정리해 보자. 그러고 보니 좀 전부터 내가 머리에 뭔가를 쓰고 있었지…. 분명 가상현실을 볼 수 있는 ‘헤드셋’이라고 들었어. 그럼 지금까지 본 게 헤드셋이 보여 준 가짜 세상이었던 거야? 그런데 진짜같이 생생한 이유가 대체 뭐지?헤드셋으로 보는 세상은 90°?보통 사람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알려준다. 고등학교에 가서도 쓸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정보
를 구하고 고민한 다음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들어봤니? ‘함수쏭’함수쏭은 5년 전에 직접 만들어 매년 함수 단원 수업에 활용하고 있다. ‘EE(Explain Everything)'라는 앱으로 함수쏭 영상을 찍기도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게재했다(supportprecisionagriculture.org). 이번에 서명한 노벨상 과학자 중에는 인트론(유전
정보
를 가지고 있지 않은 DNA 영역)의 존재를 밝혀 199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리처드 로버트, 필립 샤프와 지난해 DNA 복구 기작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토마스 린달도 있다. 생물학자는 아니지만 풀러렌을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상황을 생각해보자. 서로 부딪치고 스쳐 지나갈 뿐 이야기를 나누진 않는다. 이번엔 결혼
정보
회사가 적당한 홀에 50여 명의 남녀를 모아놓고 미팅을 주선한다고 해보자. 이 땐 참석자들이 서로 눈치를 보고 이야기도 나눈다. 만약 남녀 단 둘이 테이블에 소개팅을 한다면 어떨까. 앞의 경우보다 훨씬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를 ‘계승 동일(identical by descent)’이라고 한다) 공유되는 확률이다. 그냥 우연히 유전
정보
만 같으면 되는 게 아니다. ‘이기적인’ 유전자는 상대방의 몸 속에 있는 복제본이 정말로 과거에는 한 조상의 몸 안에서 자기와 일심동체였는지 유심히 살핀다.이처럼 유전적 근연도를 두 개체가 사회적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단순히 통행량만 분석하던 기존 모형으로는 이런
정보
를 알 수 없었다.수요예측의 또 다른 변화는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고 빅데이터가 등장한 것이다. 이로 인해 예측모형에 들어갈 자료가 다양해졌다. 특히 휴대전화와 버스카드 데이터는 개인의 움직임을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완성도가 매우 높아 심사위원들의 찬사를 받았다. 심사를 이끈 서인순 전국중등
정보
컴퓨터교사연합회장은 심사평을 통해 “중고등학생의 작품으로 믿기 어려울 정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협업 과정이 돋보였다”고 평했다. 심 회장은 “(중등부 대상작인) ‘초기 임산부도 편안한 임산부 배려석 ...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헤드셋이 가상현실을 진짜 현실 같이 보여 주는 거였구나. 그런데 생각해 보니 헤드셋에서 나오던 영상도 놀라웠어. 머리 위부터 발 아래까지 모든 곳을 다 보여 줬거든. 그래서 더 진짜처럼 느껴졌던 게 아닐까?렌즈를 늘리거나 특수 렌즈를 쓰거나~잠시 어과동에서 눈을 떼고 방안을 둘러보세요.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식재료에서 먹을 것을 골라내야 했을 때 시각
정보
는 최우선으로 쓰였다. 즉, 시각
정보
는 음식의 맛을 기대하거나 식별하는 데 중요하다. 예를 들어, 향이 없는 용액에 한쪽은 색을 넣고 다른 한쪽은 그대로 두면, 대체로 색을 넣은 쪽에 향이있다고 평가한다. 입에 넣고 향을 평가하게 하면 반대로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했는데, 오늘날에는 미생물의 총체적인 게놈(메타게놈)이나 대변에서 원하는 염기서열
정보
만 추출할 수 있다. 장내미생물 연구에 주로 많이 쓰이는 염기서열은 16S리보솜RNA다. 이것은 단백질을 만드는 리보솜의 구성성분으로, 모든 종마다 가지고 있고 염기서열이 각기 다르다. 학문적으로 엄밀한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