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진은 사해 밑바닥에서 지질학적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퇴적층을 분석해 지난 12월
초
미국 지구물리학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에 수차례 수위가 바뀌었고 간빙기에는 호수가 줄어들기도 했다. 최후의 빙하기에는 수면이 현재보다는 높았다. 사해 ... ...
당구치는 법만 알면 빈집도 턴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브레이크 인 타임이 길어질수록 보안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뜻하고 통상 1분 이상, 60
초
가 넘으면 최고의 보안성을 갖췄다고 본다. 영화 ‘식스티 세컨즈’도 여기서 나온 소재다. 주인공인 레인즈(니콜라스 케이스 분)는 맘에 드는 자동차라면 어떤 보안장치를 달았더라도 60
초
안에 훔쳐 달아날 수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cm 거리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초
고자장이나 엑스선, 플라스마 연구에도 이
초
고출력레이저를 이용하고 있다.“새로운 현상을 처음 발견한다는 것은 정말 가슴 떨리는 일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결과가 자신의 가설에 적중했을 때 느끼는 희열은 정말 대단하죠. 동시에 이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지난 1986년 ‘한국 최
초
연구중심대학’을 내세우며 포항공대로 문을 연 포스텍(POSTECH)이 지난해 12월 3일 25주년을 맞았다. 포스텍은 이날 ... 기업 등 헤아릴 수 없다. 대학평가 ‘몇위’는 순간이지만 ‘클래스’는 영원하다. 기
초
과학 분야 ‘클래스’가 되는 미래의 포스텍을 기대해 본다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다시 과학동아로 수진이는 학교에서 배운 정사영 개념을 이렇게 적용한 건 세계 최
초
인 것 같은 기분에 어깨가 으쓱했다. 스포츠를 주제로 관련된 내용을 꾸준히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은 포트폴리오가 될 것 같았다. 수진이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 검색창에 ‘스포츠’를 입력하고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저항 때문에 열이 많이 발생해 금속이 버틸 수 없으므로 저온에서 저항이 0이 되는
초
전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95% 신뢰도도 부족해충돌 결과는 ATLAS와 CMS라는 두 개의 검출기로 관찰한다. 이 둘은 크기는 다르지만 역할은 비슷해 서로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해준다. 힉스는 수명이 매우 짧아 직접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안에서 커터칼과 접착테이프를 갖고 비행기를 만들었다. 중요한 건 마음가짐이다.”최
초
의 비행기를 만든 라이트 형제는 제일 먼저 비행기를 만들기도 했지만 시행착오도 많았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바라는 것도 바로 이것이었다. 거창한 도구가 없어도 뭔가를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고 열정이 ... ...
Part1. 2049 인류 최
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미래는 밝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Part1. 2049 인류 최
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Special 화성탐사선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12월 5일 NASA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의 관찰 결과 생명체 서식권에 위치한 행성을 하나를 최
초
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행성이 바로 ‘케플러-22b’이다. 이번 발견을 계기로 지구와 유사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약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되고 있다. 생명체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를 틀끌림 현상이라고 한다. 마치 우유에
초
콜릿을 넣고 숟가락으로 돌려 저으면
초
콜릿이 회오리 모양으로 뒤틀려지는 것과 비슷하다.이렇게 아인슈타인의 우주에서 나타나는 휜 시공간과 틀끌림 현상을 검증하려면 아주 정밀한 자이로스코프가 필요하다. 자이로스코프는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