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많이 오지 않아 이런 광경을 보기 힘든게 아쉽다.그래서일까. 새해 벽두인 지난 1월 6일 미
항공
우주국(NASA)은 넉가래로 눈을 밀면서 치우는 것 같은 우주의 모습을 공개했다. 이 모습은 아돌프 솰러라는 예술가가 허블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양한 망원경이 관측한 사진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다. 3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벽두에 역사상 최초로 혜성 물질을 채집해 지구로 가져오는 우주탐사가 시작됐다.미
항공
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는 “NASA의 탐사선 ‘스타더스트’가 1월 3일 오전 4시 44분(한국시간)에 ‘빌트2’ 혜성에 2백30km의 거리까지 접근해 혜성에서 흘러나오는 물질을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고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전혀 새로운 천문 현상이 발견됐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1991년 미
항공
우주국(NASA)은 감마선폭발 현상을 규명하는 임무를 부여받은 컴프턴(Compton) 감마선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냄으로써 감마선폭발 연구에 본격 돌입했다. 2000년 수명을 마칠 때까지 컴프턴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35대가 일렬로 서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세계에서 가장 큰
항공
모함인 미국의 니미츠급
항공
모함들과 견주어 봐도 10여m쯤 더 길다. 15만t이라는 무게는 승용차 12만대를 합친 것과 비슷할 정도로 엄청난 중량이다.이 배에는 2천6백명의 승객과 1천3백10명의 승무원 등 총 3천9백10명이 탄다. 객실 수가 ... ...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별들이다.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
항공
우주국(NASA)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고 강조했기 때문. 이때부터
항공
사, 여행사, 공항검역소 등에서 주문이 폭주했다고 한다. 주성분은 알코올로 살균력이 가장 높은 농도 70% 상태에서 점도를 높여 겔 상태로 만들었다.www.paru.co.kr셀레늄 함유 우유아인슈타인과 DHA를 이어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등장했다. 그러나 암흑에너지의 존재는 그동안 입증되지 않았었다.그런데 지난해 2월 미
항공
우주국(NASA)은 암흑에너지 존재를 뒷받침해주는 우주 초기모습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나사의 우주배경복사탐사선(WMAP)이 12개월 간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 것이었다.WMAP가 담은 초기우주는 ... ...
2004년은 화성 대탐험의 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2004년에 화성은 결코 외롭지 않을 전망이다. 3대의 궤도탐사선, 3대의 착륙선이 화성의 표면을 조사하기 때문.유럽우주기구(ESA)의 마스 익스프레스는 미
항공
우주국(NASA)의 글로벌 서베이어와 오딧세이의 활동에 합류하며, 착륙선 비글2호는 NASA의 스피릿과 오퍼튜니티의 뒤를 이을 전망이다.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3대의 착륙선이 화성의 표면을 조사하기 때문.유럽우주기구(ESA)의 마스 익스프레스는 미
항공
우주국(NASA)의 글로벌 서베이어와 오딧세이의 활동에 합류하며, 착륙선 비글2호는 NASA의 스피릿과 오퍼튜니티의 뒤를 이을 전망이다.기온 습도 태양복사 등 여러 기상요소를 조합하여 상쾌·불쾌의 정도를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저위도 지역에서 비타민 D의 과잉생성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재블론스키 박사는 미
항공
우주국(NASA)에서 측정한 자외선 지도, 즉 지구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표시한 도표를 바탕으로 적정 수준의 엽산과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는 피부색을 예측한 지도를 작성했다. 그리고 이 지도를 실제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