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45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겨울에 전북서 가장 많이 발생…주말보단 평일에 증가
연합뉴스
l
2020.11.05
미세먼지 농도, 2000년대 대비해 개선 추세…정책 효과 분석 필요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수준을 보인 27일 서울 시내가 뿌옇게 보이고 있다. 2020.10.27 saba@yna.co.kr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미세먼지가 '나쁨' 상태를 보이는 날이 다시 많아지고 있다 미세먼지 농 ... ...
포스텍 개발한 '적층형 공작기계 시스템' 국제표준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서석환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만든 ‘사이버 물리 제어 기반의 스마트 적층형 공작기계 시스템’이 10월 15일 국제표준안(ISO 23704-3)으로 채택했다. 사진은 서석환 교수.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개발한 ‘사이버 물리 제어 기반의 스마트 적층형 공작기계 시스템’을 국제표준안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2019년 서울대 입학식 모습이다. 연합뉴스 대학을 플랫폼과 네트워크에서 바라보는 관점은 미래 인재들의 역량에 대한 재정립도 가능하다.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미래에 필요한 인재 역량에 관해서는 수많은 연구와 의견이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보고서는 세계경제포럼(WEF)이 2015년 출 ... ...
'딥페이크'같은 사진 위변조, AI가 적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3
이흥규 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디지털 사진의 변형 여부를 탐지하는 소프트웨어 '카이캐치'를 개발했다. 카이캐치는 변형 유형을 파악해 사진 속 변이가 일어난 부분을 정확하게 찾아낸다. KAIST 제공 사진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다른 사진을 합성하는 ‘딥페이크 ... ...
음악의 기원은 구애일까?…미 학계 '진화론' 다윈에 반박
연합뉴스
l
2020.11.02
공동연구 논문 발표 "이성 향한 구애에서 비롯됐다는 분석 틀려" "영역 다툼시 집단적 구호나 자장가에서 유래" [도서출판 갈라파고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음악의 기원을 이성을 향한 구애에서 찾은 '진화론의 아버지' 찰스 다윈의 분석이 틀렸다는 학계의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일간 ... ...
청계천 지식의 요람 '세운기술서적' 52년 만에 추억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한국의 첫 기술서적전문서점이던 세운기술서적이 52년 만인 올해 10월 문을 닫았다. 2대 사장인 조은영 사장이 텅 빈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이달 2일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2층의 한 상점. 하얀색 셔터문이 굳게 내려진 채 자물쇠로 잠겨 있었다. 겉보기에는 세운지구 재개 ... ...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첫 실험증거 나왔다
2020.11.02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메디컬 센터 연구진이 코로나19와 일부 감염성 바이러스의 공기 감염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안한 실험 장치다. 에라스무스 메디컬 센터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하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 ...
의학 발전 이바지하고도 기억되지 않은 여성 암세포, 70년 만에 보상받는다
2020.11.01
헨리에타 랙스는 1920년 8월 1일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태어났다. 이후 1951년 자궁경부암으로 3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에게 채취한 세포는 불멸의 세포주가 돼 지금까지 연구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생 100주년을 맞아 많은 과학자와 의학자들이 그를 기리는 한편, 본인의 동의 없이 이 ... ...
단백질 접는 '스위치'로 다양한 나노 건축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최명철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미세소관을 구성하는 ‘튜불린’ 단백질을 나노 소재 기초물질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몸속 단백질을 마음대로 접는 스위치를 찾아 필요에 따라 스위치를 조절해가며 단백질로 다양한 나노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 ... ...
K-방역, 미국 주요 역학저널에…"봉쇄 없이 확산 억제"
연합뉴스
l
2020.10.29
신규확진자 2월29일 909명→ 3월15일 76명…2주 만에 확산 억제 성공 한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 대응 조처를 소개한 논문이 미국의 대표적인 역학 저널에 실렸다. 한국은 코로나19가 급확산한 다른 국가와 다르게 봉쇄나 이동 제한 등을 하지 않고, 신속하고 종합적인 진단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