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뉴스
"
문화과학
"(으)로 총 2,455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항우硏/생명硏/KISTEP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KAIST △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장 이동만 △ 국제협력처장 유창동 △ 교수학습혁신센터장 이태억 △학술문화원장 김명호 △모바일하버연구센터장 곽병만 △EEWS연구센터장 이재규 △총무부장 성용제 △총장실장 이창준 △기획팀장 정선태 △예산팀장 신서식 △경영평가팀장 이동형 △사 ... ...
종이만 있으면 벌새도 뚝딱! 오리가미 초고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08.27
한 마리 안나벌새가 활짝 핀 나팔꽃을 만났다. 실제 모습과 꼭 닮은 이 안나벌새는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로 만들어진 오리가미 작품이다. 더 놀라운 점은 안나벌새의 몸통(짙은 녹색 부분)은 종이 한 장으로 접어 만든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종이접기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오리가미 창작 ... ...
왕릉을 앞뒤로 배치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6
인선왕후릉(앞)과 효종영릉(뒤)가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 이종호박사 제공 다음해에 왕릉 앞에 인선왕후 능을 써서 좌우로 이웃한 다른 쌍릉과는 달리 앞뒤로 나란히 쌍릉을 이룬 동원상하릉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조선왕릉 가운데 성북구의 의릉(경종)과 더불어 2개뿐이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인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경영지원부장 문동규 △홍보실장 홍석환 △문화조성지원팀장 오병석 △인사팀장 권혁중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세종대왕의 천장 사건은 조상의 기운이 후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동기감응 혹은 친자감응의 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세종의 묘를 잘못 택했기 때문에 조선 초기에 수많은 환고가 있었지만 천장을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 ... ...
[광화문에서]부리부리 박사가 부흥부흥
동아일보
l
2013.08.16
[동아일보] ‘도토리 세 알에다 장미꽃 한 송이/달님 속 계수나무 별똥별 하나/이것저것 쓸어 모아 발명을 한다 발명을 한다.’ 1976년부터 2년 남짓 KBS에서 방영한 어린이 뮤지컬 가면극인 ‘부리부리 박사’ 주제가의 한 도막이다. 도토리, 장미꽃, 계수나무, 별똥별. 이런 재료를 가지고 무엇을 ... ...
“화학이야말로 기초와 산업 두마리 토끼 잡을 수 있는 학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8.15
김재현 한국화학연구원 원장은 국내 화학산업 발전을 위한 콘트롤타워 기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많은 이들이 과학자하면 하얀 가운을 입고, 비이커나 실험관 속에 피펫으로 어떤 약품을 떨어뜨리는 모습을 상상한다. 바로 화학자의 모습이다. 예전에는 화학하면 대 ... ...
왕에게 묫자리 빼앗길 것을 예상했던 이인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예종은 당시 평안도 관찰사로 있던 이인손의 큰아들 광릉부원군 이극배(성종 때 영의정)를 조정으로 불렀다. 아무리 왕이지만 사대부의 묘택을 함부로 어찌할 수는 없었다. 예종은 인간적으로 명당 터를 양도해달라고 우회적으로 압력을 가하였고 결국 이극배는 할 수 없이 문중 회의를 열고 선친 ... ...
王家의 기를 누를 정도로 강한 세도가의 묫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영릉(寧陵)의 세종대왕 재실 - 이종호 박사 제공 둔촌(遁村) 이집은 충목왕 3년인 1347년 문과에 급제한 뒤, 정몽주·이색 등 당대의 거유(巨儒)들과 교유하였다. 이후 합포종사(合浦從事)를 지내고, 신돈을 논박하다 미움을 받자, 늙은 아버지를 업고 영천(永川)으로 피신하여 천곡(泉谷) 최윤도(崔 ... ...
세종 死後 피바람이 분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세종대왕 동상 - 이종호 박사 제공 세종대왕릉이 영릉에 오게 되는 과정 즉 천장(遷葬)에는 매우 흥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앞에서 설명했지만 태종은 원래 서울시의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헌릉(강남구 내곡동 소재)에 묻혔다. 세종의 어머니인 원경왕후 민씨 사후(세종 2년)에 능기(陵基)를 잡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