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금성탐사선, 5년 만의 재시도 끝에 금성 궤도 진입 성공
동아닷컴
l
2015.12.10
엔진 4기를 분사해 속도를 낮춰 금성 중력에 끌려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미 항공우주국(
NASA
)는 “우주 탐사에서 두 번의 기회를 살리는 경우는 극히 드문데 JAXA가 대단히 의미있는 일을 해냈다”며 “금성의 비밀을 풀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반겼다. 앞으로 아카쓰키는 2년 동안 금성 ... ...
지금보다 수천 배 강력한 태양 흑점 폭발 일어날 수 있다
2015.12.07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쌍성 ‘KIC9655129’의 슈퍼플레어 현상을 관측했다. 그리고 태양에서도 이와 같은 슈퍼플레어가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태양에서 플레어가 발생할 때와 KIC9655129에서 슈퍼플레어가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알려졌다. 하지만 제트기류와 폭풍의 역학적 관계와 기원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NASA
가 촬영한 목성의 실제 사진(왼쪽)과 연구팀이 3D 시뮬레이션 모델로 구현한 목성(오른쪽)을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한 모습. -
NASA
, 앨버타대 제공 연구팀은 유체역학을 활용해 목성 표면의 ... ...
거대 블랙홀 기원 밝혀질까
2015.11.25
약 3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먼저 미국우주항공국(
NASA
)의 ‘찬드라 X선 우주망원경(CXO)’으로 블랙홀에서 나오는 X선 영역을 탐색해 후보를 찾아냈다. 이 망원경은 지상의 광학망원경으로는 관측할 수 없는, 천체에서 방출되는 X선을 관측할 수 있다. 이후 ... ...
韓-日-印, 달 탐사 경쟁 2라운드 돌입
2015.11.20
한국 달 탐사를 나타낸 상상도. 태극기 오른쪽으로 달에 착륙한 착륙선이 보이고 뒤쪽으로 작게 궤도선이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18년 ... 최 실장은 또 “아직 개발 경험이 없는 심(深)우주항법 등 일부 기술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미생물, 우주에선 더 강력해진다
2015.11.13
잘 번식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다르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카스투리 벤카테스와란
NASA
제트추진연구소 박사팀은 ISS에서 채집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미생물의 번식 능력이 지구에 오면 달라진다고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비옴(microbiome)’ 10월 27일자에 발표했다. ISS의 공기 필터와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찾았다
2015.11.12
않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케플러-452b는 지구에서 무려 1400광년이나 떨어져 있지만,
NASA
는 향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활용해 케플러-452b의 표면과 대기를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한편 국내에서는 지난달 1일부터 한국천문연구원이 ... ...
환경파괴 없는 경제성장은 가능할까?
2015.11.08
표지에는 지난 1년 여간 화성 궤도를 돌며 화성의 대기를 탐사해 온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화성탐사선 ‘메이븐(MAVEN)’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실렸다. 메이븐은 이번 탐사를 통해 태양 활동으로 화성의 대기와 물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메이븐의 탐사 성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
“화성에서 산소 사라진 원인은 태양풍 활동 때문”
2015.11.06
지난해 9월 화성 궤도에 진입해 1년여 화성 대기를 탐사해온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탐사선 ‘메이븐’. 메이븐의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NASA
는 5일(현지 시 ... 화성에 안착시키는 등 지금까지 화성 궤도 외에 화성 표면 탐사에 나선 로봇만 4대다.
NASA
는 2030년 우주인을 화성에 보낼 계획이다.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
NASA
)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의 모습과 박테리아 표면에 붙어 있는 파지의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